
▲ 금융위원회가 금융권 건전성 향상을 위해 스트레스 완충자본제도 등의 도입을 추진한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이 3월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개선 TF(태스크포스)실무작업반’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15일 ‘제3차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개선 TF(태스크포스)실무작업반’에서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 등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우려가 높아져 금융권 건전성을 높여야 한다”며 “금융권이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경기대응완충자본 추가 부과·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대응완충자본(CCyB) 제도는 은행이 경기가 좋아 신용이 팽창할 때 추가자본을 0%에서 2.5%까지 적립하도록 한 뒤 신용이 경색되는 시기가 오면 자본적립의무를 완화해 사용하도록 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바젤Ⅲ 자본규제 일환으로 2016년에 도입됐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불확실성이 늘어 최근까지 0%를 유지해 왔다.
금융위는 코로나19를 거치며 급격히 늘어난 여신이 부실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2분기나 3분기 안으로 이 비율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는 위기상황을 가정한 뒤 은행이 적정자본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보는 등 손실흡수능력을 점검하는 제도다. 금융위는 미국이나 유럽연합 등 해외사례를 고려해 은행별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따라 추가자본 적립의무를 부과하는 제도를 도입할 것을 논의하고 있다.
대손충당금 제도 보완도 이 자리에서 논의됐다.
김 부위원장은 “은행권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해 자본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대손충당금 적립 관련 제도도 개선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가 스몰라이센스 등의 특화전문은행 등 금융위가 추진하는 정책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 부위원장은 “이미 밝힌 것처럼 이번 TF는 금융안정과 소비자 보호를 전제로 은행권 안의 실질적 경쟁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원래 계획대로 6월 말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이 자리에서는 지난해 은행권의 성과급 지급 비판목소리도 나왔다.
김 부위원장은 “성과보수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외부적 요인보다는 실질적 성과에 따라 중장기적 측면을 고려해 지급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권이 스스로 이런 측면에 따라 성과보수체계를 투명히 공시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