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래에셋증권 등 종합금융투자사업자 9곳이 시장 안정을 위해 중소형 증권사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에 나선다.
4일 금융위원회는 증권업계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프로그램이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다고 밝혔다.
이에 종합금융투자사업자 9곳이 모두 4500억 원을 출자해 중소형 증권사 보증의 A2(-)등급 이상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매입한다.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로 불거진 단기자금시장 유동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에 나선 것이다.
앞서 10월27일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종합금융투자사업자(대형 증권사) 사장단은 부동산PF 유동화시장 및 단기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중소형 증권사가 보유한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 등을 업계 차원에서 소화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이 외에도 증권금융은 RP·대출 등을 통해 중소형 증권사에게 현재까지 약 1조 원을 공급했다. 산업은행 등은 회사채·CP 매입프로그램 매입규모를 확대하고 증권사가 발행하는 CP도 11월1일부터 매입을 개시했다.
금융위원회는 "향후 채권시장 안정펀드와 증권금융 및 산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을 보다 유연하고 적극적으로 운영해 시장대응 기능을 제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안나 기자
4일 금융위원회는 증권업계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프로그램이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다고 밝혔다.

▲ 4일 금융위원회는 증권업계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프로그램이 다음 주부터 매입 신청을 받는 등 본격적으로 가동된다고 밝혔다.
이에 종합금융투자사업자 9곳이 모두 4500억 원을 출자해 중소형 증권사 보증의 A2(-)등급 이상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매입한다.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로 불거진 단기자금시장 유동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에 나선 것이다.
앞서 10월27일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종합금융투자사업자(대형 증권사) 사장단은 부동산PF 유동화시장 및 단기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중소형 증권사가 보유한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 등을 업계 차원에서 소화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이 외에도 증권금융은 RP·대출 등을 통해 중소형 증권사에게 현재까지 약 1조 원을 공급했다. 산업은행 등은 회사채·CP 매입프로그램 매입규모를 확대하고 증권사가 발행하는 CP도 11월1일부터 매입을 개시했다.
금융위원회는 "향후 채권시장 안정펀드와 증권금융 및 산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을 보다 유연하고 적극적으로 운영해 시장대응 기능을 제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