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정부 인사평가 관련 여론조사 결과. <미디어토마토>
여론조사기관 미디어토마토가 6일 발표한 '새정부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인사평가'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내로남불의 잘못된 인선이라고 답한 비율이 44.6%, 능력에 따라 잘된 인선이라고 답한 비율이 37.6%로 나타났다.
부정평가와 긍정평가 비율의 차이는 7%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7.8%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에서만 긍정평가가 49.3%로 부정평가(33.0%)를 앞섰고 그 외 연령층에서는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부정평가 60.7%, 긍정평가 18.1%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긍정평가가 높았던 지역은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로 각각 45.7%, 40.7%, 47.3%다. 부정평가는 각각 28.7%, 36.3%, 40.8%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가운데 80.3%가 부정평가를 내렸으며 국민의힘 지지층 가운데 65.9%가 긍정평가를 내렸다.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해 국회를 통과한 검찰수사권 폐지 법안과 관련해서는 국민의힘과 재협상을 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47.2%로 조사됐다. 국민의힘이 여야합의를 파기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응답은 38.7%,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4.2%다.
재협상을 해야 됐다는 응답비율과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응답비율의 차이는 8.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응답이 47.9%로 재협상이 필요했다는 응답(39.7%)보다 높았다. 그 외 연령층에서는 재협상을 했어야 됐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지역별로 살펴봤을 때도 광주·전라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응답(59.6%)이 재협상이 필요했다는 응답(27.6%)을 앞섰다.
임기를 마치는 문재인 정부의 지난 5년을 어떻게 평가하냐는 질문에는 긍정평가가 43.1%, 부정평가가 53.7%로 조사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3.2%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차이는 10.6%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에서 긍정평가가 52.6%로 부정평가(43.1%)보다 많았고 그 외 연령층에서는 모두 부정평가가 많았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광주·전라의 긍정평가 비율은 71.7%, 부정평가는 20.7%로 조사됐다.
반대로 가장 부정평가가 많았던 지역은 대구·경북으로 긍정평가가 12.2%, 부정평가가 66.3%였다.
이번 여론조사는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5월 3~4일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15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조사방법은 무선 자동응답(ARS) 100%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