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용산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을 공식화하면서 용산 일대 부동산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대통령 집무실 소재지라는 상징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상승 등에 대한 기대도 보이는 한편 고도제한을 비롯한 각종 개발 관련 제약에 관한 우려로 주변 부동산시장 분위기가 주춤할 것이라는 시선도 나온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20일 용산지역 부동산업계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살펴보면 대통령 집무실 이전 이슈와 관련해 가장 관심이 집중된 사안은 개발제한에 관한 부분이다.
윤석열 당선인이 이날 기자회견에서 “용산은 이미 군사시설 보호를 전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추가적 규제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오면 경호와 보안을 위한 규제 등이 추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선이 여전하다.
용산 지역카페의 한 누리꾼은 “지금 청와대 주변을 봐도 대충 예상이 되는 것 아니냐”며 “도로를 비롯한 주변 전체적 정비작업으로 동네가 쾌적해질 수는 있겠지만 개발과 땅값에는 호재가 아닐 듯”이라는 댓글을 올렸다.
이밖에도 고도제한 등 규제가 더 심화되면서 재건축이 까다로워지지 않겠냐는 의견, 국방부 청사 인근은 초고밀개발이 어려워질 것 같다는 의견 등이 눈에 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들이 용산 국방부 청사를 방문한 18일 용산 일부지역 주민들이 ‘대통령실 용산 이전을 재검토해달라’는 내용의 플랜카드를 들고 국방부 청사 정문을 막아서는 일도 있었다.
추가 규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용산지역 부동산 개발의 기대감이나 투자심리는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최근 대통령 집무실 이전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국방부 청사 근처의 삼각맨션 특별계획구역, 한강로1가 특별계획구역 등에서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정비사업이 지연될 가능성 등으로 호가를 이전보다 낮춘 매물도 등장하고 있다.
지금도 군사시설보호구역에 따른 제한 상황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 대통령 집무실까지 들어서면 보안이 더 강화되면서 정비사업이 아예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한탄 섞인 걱정까지 나온다.
현재 청와대 인근은 최고고도제한지역(인왕자연경관지구·1종일반주거지역)으로 높이 16미터(4층) 이하 건물만 지을 수 있다.
또 직접적 개발제한이 아니더라도 대통령 경호, 집회와 시위 등에 따른 교통체증 심화 등 생활 불편요소들이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용산은 앞서 2013년 국제업무지구 통합개발사업이 무산되고 용산공원 조성도 늦어지는 등 주요 개발사업들이 지지부진하면서 부동산시장도 오랜 침체기를 겪었다.
역세권 청년주택 등 대규모 공공임대 공급계획을 놓고 시장의 불만도 높았다.
하지만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을 비롯해 용산공원 조성사업, 용산역과 신사역을 잇는 신분당선 연장,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과 B노선 신설 등 굵직한 개발사업들이 속도를 내면서 부동산시장에서 용산에 대한 기대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반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많다.
국방부 청사와 주변지역은 원래부터 군사시설보호구역에 따른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과 크게 달라질 부분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 흘러나오는 우려들이 과도하다는 것이다.
윤석열 당선인도 “현재 종로구 삼청동, 효자동, 청운동 등의 개발제한은 청와대와 크게 관련이 없다”며 “청와대 주변은 고궁 등이 있어 경관지구로 묶였기 때문에 그동안 개발제한이 이뤄진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다.
오히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과 용산공원 조성 계획, 철도 지하화 작업 등의 추진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또 ‘용산 대통령 시대’를 맞이하면 지역의 가치가 상승할 수 있다는 시선도 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