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차세대 D램의 구동성능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개발자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내놨다.
삼성전자는 7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솔루션 ‘스케일러블 메모리 개발키트(SMDK)’를 공개했다.
SMDK는 차세대 기술인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가 적용된 D램에서 메모리 동작 최적화를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다.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 등 고성능 컴퓨터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들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적용되는 인터페이스다.
개발자들이 해당 개발도구를 활용하면 원하는 프로그램에서 D램이 더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시스템 환경에 맞춰 기존 D램과 차세대 D램의 사용 우선순위, 사용량, 대역폭, 보안기능 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다양한 응용환경에서 검증을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모든 개발자가 차세대 D램 개발도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철민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상무는 “차세대 메모리가 탑재된 고성능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고객들이 적기에 프로그램을 개발해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될 수 있도록 종합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구광선 기자]
삼성전자는 7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솔루션 ‘스케일러블 메모리 개발키트(SMDK)’를 공개했다.

▲ 삼성전자가 개발한 업계 최초 CXL기반 D램. <삼성전자>
SMDK는 차세대 기술인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가 적용된 D램에서 메모리 동작 최적화를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다.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 등 고성능 컴퓨터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들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적용되는 인터페이스다.
개발자들이 해당 개발도구를 활용하면 원하는 프로그램에서 D램이 더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시스템 환경에 맞춰 기존 D램과 차세대 D램의 사용 우선순위, 사용량, 대역폭, 보안기능 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다양한 응용환경에서 검증을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모든 개발자가 차세대 D램 개발도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철민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상무는 “차세대 메모리가 탑재된 고성능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고객들이 적기에 프로그램을 개발해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될 수 있도록 종합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구광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