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의 신속한 집행이 중요하다고 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7일 ‘하반기 반등 성공을 위한 적극적 경기부양 노력 필요’ 보고서를 내고 경기가 2분기 저점을 찍은 뒤 완만하게 상승하는 U자 반등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보고서에서 “앞으로 경기 방향성은 정부의 추경, 소비심리의 회복, 국제적 봉쇄조치의 해제, 중국의 경기 개선 속도, 미국과 중국의 2차 무역전쟁 발발 여부 등에 달려 있다”고 봤다.
특히 주 실장은 추경 가운데서도 가장 규모가 큰 3차 추경의 집행속도가 하반기 경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주 실장은 합계 24조 원 규모의 1, 2차 추경이 2020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0.61%포인트 높이는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했다.
3차 추경이 정부가 편성한 대로 35조 원 규모로 집행된다면 1~3차 추경 전체의 경제성장률 제고효과는 1.51%포인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3차 추경만의 효과를 0.9%포인트로 본 것이다.
주 실장은 “추경안의 국회 통과와 집행 시기가 늦어진다면 재정정책의 효과가 급감할 수 있다”며 “경기 보완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3차 추경안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일시적 소득보전이 아니라 상시적 소득증가를 통한 소비 확장정책으로 내수경기 진작을 도모하고 고용절벽을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은 7일 ‘하반기 반등 성공을 위한 적극적 경기부양 노력 필요’ 보고서를 내고 경기가 2분기 저점을 찍은 뒤 완만하게 상승하는 U자 반등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 역대 추경의 경제성장률 제고 효과.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보고서에서 “앞으로 경기 방향성은 정부의 추경, 소비심리의 회복, 국제적 봉쇄조치의 해제, 중국의 경기 개선 속도, 미국과 중국의 2차 무역전쟁 발발 여부 등에 달려 있다”고 봤다.
특히 주 실장은 추경 가운데서도 가장 규모가 큰 3차 추경의 집행속도가 하반기 경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주 실장은 합계 24조 원 규모의 1, 2차 추경이 2020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0.61%포인트 높이는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했다.
3차 추경이 정부가 편성한 대로 35조 원 규모로 집행된다면 1~3차 추경 전체의 경제성장률 제고효과는 1.51%포인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3차 추경만의 효과를 0.9%포인트로 본 것이다.
주 실장은 “추경안의 국회 통과와 집행 시기가 늦어진다면 재정정책의 효과가 급감할 수 있다”며 “경기 보완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3차 추경안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일시적 소득보전이 아니라 상시적 소득증가를 통한 소비 확장정책으로 내수경기 진작을 도모하고 고용절벽을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