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중앙은행과 시장 사이의 소통과 신뢰를 중시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임 총재 때 한국은행이 보여준 신호와 기준금리 결정 사이에 엇박자가 생기면서 신뢰에 대한 비판이 쏟아진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이 총재는 또 "금리를 조정할 필요성이 있으면 미리 시그널을 줘야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의 이런 말은 전임 총재 때 한은이 보여준 신호와 기준금리 결정이 맞지 않으면서 한은에 대해 신뢰와 관련한 비판이 쏟아진 점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중수 전 총재는 2010년 저금리 정책기조와 물가인상 가능성에 대해 수차례 강조하고도 몇 달 동안이나 금리동결 결정을 내려 '통화정책의 실기'라는 비판에 시달렸다. 또 지난해 시장 참가자들이 인하를 예상했던 4월 금리를 동결했다가 5월 예상을 뒤집고 금리를 내려 안팎에서 반발을 낳기도 했다.
이 총재는 “정부는 행정력이 있지만 한국은행은 소위 파워를 갖고 일하는 조직은 아니다”며 “통화정책은 신뢰를 가지고 하는 것인데 신뢰라는 게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자신을 '매파'로 규정하는 시선에 대해 일부 인정했다. 그는 "금리결정 때 물가와 경기 두 가지를 보는데 물가가 상대적으로 안정돼 있다"며 "(올해) 성장을 4%로 전망하고 내년에도 이 기조가 이어진다고 보면 인하로 보기는 어렵지 않겠는가 하니 시장에서 금리인상 수순으로 보고 매파라고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향후 경기와 관련해 "지난 4월 금통위 때 시각이 유지되고 있다며 상반기까지 경기를 지켜 볼 것"이라고 말해 상반기까지 금리변화가 없을 것임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세월호 참사 여파로 내수가 위축돼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에 대해서도 말문을 열었다. 이 총재는 "가능성을 전제로 한 답변은 안 하겠지만 세월호에 따른 영향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주체들이 외출도 삼가는 등 소비를 자제하고 있는 것이 눈에 보인다”며 “답변할 만큼의 데이터가 지금은 없지만 상반기까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박원식 부총재가 조만간 그만둘 것이라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관련해 "보도된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원칙적으로 임기를 지켜주는 게 맞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