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최민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14일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열린 미래창조과학부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스마트폰 출고가 인하 압력을 더욱 강하게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 뒤 유통점에 거액의 판매장려금(리베이트)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최민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공개한 ‘국내 단말기 제조사 리베이트 집행현황’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단통법 시행 뒤 9개월 동안 유통점에 판매장려금으로 8018억 원을 지급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한달 평균 890억 원을 국내 유통업체들에게 판매장려금으로 지급했다. 이를 감안하면 두 회사가 1년 동안 지급한 판매장려금은 1조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전략 스마트폰을 출시하기 전이나 출시한지 한두달 뒤에 많은 판매장려금을 뿌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3월 1150억 원, 6월1206억 원을 판매장려금으로 지급했다.
반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전략스마트폰 갤럭시S6 시리즈와 G4를 출시한 4월 712억 원, 5월 865억 원으로 판매장려금을 줄였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거액의 판매장려금을 지급하는 대신 단말기 출고가를 내리라는 여론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최 의원은 “판매장려금을 절약하더라도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의 거품을 뺄 수 있다”며 “결국 제조사들이 유통점에 천문학적 비용을 쓰면서 소비자들은 고가의 단말기 구입을 강요당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분리공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어 삼성전자와 LG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분리공시제는 이동통신사와 휴대폰 제조사가 주는 지원금을 구분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이통사와 제조사의 지원금을 구분할 수 있어 제조사들이 받는 단말기 출고가 인하 압박이 커질 수 있다.
이 제도는 지난해 10월 단통법 시행을 앞두고 삼성전자와 일부 부처의 반대로 도입이 무산됐다.
더욱이 국내 스마트폰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격 대비 성는이 좋은 중저가 스마트폰이 인기를 끌고 있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국내에서 가격 경쟁력을 높여야 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SK텔레콤이 단독으로 내놓은 TG앤컴퍼니의 중저가 스마트폰 ‘루나’는 초도물량이 대부분 소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루나는 프리미엄급 사양을 갖췄지만 가격이 45만 원 정도에 불과하다.
통신업계와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7일~11일까지 국내 국내 휴대폰 기종별 판매순위에서 루나는 하루 평균 2천대 가량 판매되며 갤럭시노트5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여기에 샤오미 화웨이 등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도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샤오미는 9월 초에 G마켓과 만나 공식 온라인 유통계약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웨이는 지난해 이미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했으며 최근 국내 사후서비스(AS) 센터를 42개에서 50개로 늘렸다. 일부에서는 화웨이가 스마트폰 신제품을 출시를 겨냥해 이런 조처를 취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물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스마트폰 출고가를 낮출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스마트폰 시장에서 프리미엄 전략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수익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한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쉽사리 단말기 출고가를 인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애플에 고가시장을 전부 내주면 한국 스마트폰기업은 중저가 스마트폰업체가 될 수밖에 없다”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고가 제품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