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프레시웨이가 중국을 발판 삼아 해외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CJ프레시웨이는 중국에서 식자재유통사업을 독자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CJ푸드빌의 중국 매장이 확대되고 있는 점도 장기적으로 CJ프레시웨이의 중국 식자재유통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 |
||
▲ 강신호 CJ프레시웨이 대표. |
영휘마트는 중국 대형마트에서 처음으로 농산품을 판매하기 시작한 농산물 신선식품 유통업체다.
영휘마트는 지난해 매출 6조8천억 원, 영업이익 1734억 원을 올렸다.
CJ프레시웨이와 영휘마트는 조인트벤처(JV) 2개를 설립하기로 했다.
‘JV1’의 지분은 CJ프레시웨이 70%, 영휘마트 30%로 구성된다. 식자재 공급과 검수업무를 통해 국내 식자재업체들의 중국진출 창구를 맡는다.
‘JV2’는 영휘마트 70%, CJ프레시웨이 30%로 설립돼 중국에서 유통을 담당한다.
김정욱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CJ프레시웨이가 중국 식자재유통 산업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며 “앞으로 해외업체와 추가적인 조인트벤처 설립도 예상돼 해외진출 확대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영휘마트는 중국에서 대형마트와 슈퍼마켓을 주력사업으로 하면서 편의점 프랜차이즈도 함께 보유하고 있다”며 “중국 17개 지역에 500여 개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J프레시웨이는 CJ푸드빌이 중국에서 매장을 확대하면서 중국 공략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CJ푸드빌은 7일 중국 상하이에 한식 브랜드 ‘비비고’ 1호점 문을 열었다. CJ푸드빌은 중국에서 비비고를 비롯해 빕스, 뚜레쥬르, 투썸커피 등 4개 브랜드 매장 100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CJ푸드빌의 전체 해외매장수의 40%에 이른다.
손주리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식자재유통업체들의 위상은 그룹의 중간유통업체라는 수동적 역할에서 최근 주요 판매채널로 강화됐다”며 “전방업체의 해외진출은 후방업체인 식자재 유통업체들의 제2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CJ프레시웨이는 올해 상반기에 30대 그룹 가운데 투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으로 꼽혔다. CJ프레시웨이는 상반기에 유무형자산 취득액이 746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1년 사이 256.4%(171억 원) 급증한 수치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