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위원장이 "혁신의 승자들이 패자를 이끌어야 한다"며 이 대표를 훈계하자 이 대표는 "혁신은 우리 사회 전체가 승자가 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피해자가 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혁신에 승자와 패자는 없다"며 받아쳤다.
이 대표는 승차공유문제에 해결책을 내놨다는 태도를 보인다.
“(모빌리티 산업에) 규제를 더 만드는 것, 택시산업을 해결하겠다고 더 많은 보조금을 투입하는 것, 이것은 잘못된 방향이다. (이런식으로 방향을 잡으면) 어느 순간 자율주행시대가 오게 될 때 택시산업이 더 안좋아진다.”
이 대표가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정책의 방향을 지적한 말이다. 그는 “가장 쉬운 방법은 개인택시 면허를 정부가 구입해서 감차해주는 것”이라며 “이 방법이 (택시업계가 느끼는) 공포를 없애고 정부의 정책실패를 만회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 대표의 해결책이 정답은 아니다. 정부가 정책을 결정할 때는 고려해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그럼에도 결정적 책임은 정부에 있다는 시각도 우세하다. 정부는 사회적 대타협기구의 조정안으로 한시름 놨다고 생각했지만 여전히 택시업계의 공포를 잠재우고 설득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대타협기구는 택시업계의 주장대로 카풀서비스를 전면 중단한 사업자인 카카오모빌리티만 대표격으로 포함되고 개인택시업계는 혜택을 못 받는 등 온전히 모든 업계를 포용하지 못하고 있다. 사태가 계속 꼬이는 이유다.
여기에 가장 중요한 소비자도 빠져 있다.
이재웅 대표는 “가장 중요한 모빌리티의 이용자가 빠지고 카카오와 택시4단체와 국회의원들이 모인 기구를 사회적 대타협기구라고 명명한 것부터 말도 안되는 일”이라며 “수십만 명의 택시기사가 있다고 하는데 택시 이용자는 수천만 명”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 목소리는 누가 대변하고 있으며 (국민의 입장을 아무도 대변하고 있지 않은) 사회적 대타협기구에서 나온 결론을 국민이 수용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인가”라면서 “택시기사들을 위한 대책과 관련 비용을 우리 사회가 부담해야 하는지, 부담하게 된다면 어떻게 부담해야 하는지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장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은 소비자인 국민이다. 택시비용의 인상, 타다 서비스 등 승차공유서비스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면서 실제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국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