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전문경영인들의 연봉은 얼마나 될까? 특히 삼성전자가 궁금하다.
![]() |
||
▲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
신종균 삼성전자 IM부문 사장은 62억1300만 원(급여 11억7400만 원, 상여금 14억8100만 원, 기타근로소득 24억3400만 원), 윤부근 삼성전자 소비자가전부문 사장은 50억8900만 원(급여 11억 7400만 원, 상여금 15억9500만 원, 기타근로소득 34억 4400만 원), 이상훈 삼성전자 사장 34억3400만 원(급여 8억5700만 원, 상여금 12억6800만 원, 기타근로소득 16억900만 원)을 각각 받았다.
또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은 39억7천만 원을 받았다 최치준 삼성전기 사장은 26억3600만 원, 박상진 삼성SDI 사장은 20억9천만 원, 성인희 삼성정밀화학 사장은 18억3200만 원을 각각 연봉으로 받았다.
삼성그룹 오너 일가 중 유일하게 공개 대상인 이부진 신라호텔 사장은 30억900만 원을 수령했다.
이밖에도 전문경영인인 박종우 제일모직 전 사장은 31억7천만 원, 윤주화 제일모직 전 사장은 9억1100만 원을 각각 수령했다. 또 박근희 전 삼성생명 부회장은 25억1700만 원, 김창수 전 삼성화재 사장은 18억9300만 원을 각각 받았다.
삼성그룹 외에도 전문경영인들의 연봉이 공개됐다.
지난해 중도 퇴임한 이석채 전 KT 회장은 급여 4억7600만 원, 상여금 13억3900만 원, 퇴직금 11억5300만 원 등 총 29억7900만 원을 수령했다. 하성민 SK텔레콤 사장은 12억6600만 원,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은 16억7400만 원을 각각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에서는 박종원 코리안리재보험 전 사장이 지난해 176억 원의 소득을 올리며 가장 많이 받았다. 박 전 사장은 퇴직금 159억5600만 원을 포함해 급여 2억5300만 원, 상여 5065만 원, 기타근로소득 13억6400만 원을 각각 받았다.
또 하영구 씨티은행장 28억8700만 원, 서진원 신한은행장 13억1천만 원, 윤용로 전 외환은행장 10억4300만 원을 각각 받았고,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은 6억3천만 원을 수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