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 터널의 미세먼지를 별도의 동력 없이 줄일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시설을 개발했다.
도로공사는 경기도 안양과 군포를 잇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위의 수리터널에 무동력 미세먼지 저감시설을 10월부터 한 달 동안 시범 설치한 결과 하루 동안 정화한 공기량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도로먼지 흡입 청소차 46대가 작업한 양과 같았다고 5일 밝혔다.
새로 개발된 무동력 미세먼지 저감시설은 교통풍을 따라 이동하는 미세먼지를 터널 천장에 설치한 대형 필터로 걸러내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다. 교통풍은 차량이 터널 안을 통과할 때 주변 공기가 밀려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바람을 말한다.
기존에 사용되던 미세먼지 처리시설인 전기집진기와 비교했을 때 설치비와 유지관리비가 낮아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새롭게 건설되는 터널뿐 아니라 현재 운영 중인 터널에도 설치할 수 있는 등 토목공사를 추가로 할 필요가 없다.
도로공사는 "무동력 미세먼지 저감시설은 국내외 적용 사례가 없는 도로공사의 자체 기술로 제작했다"며 "이번 시범 설치로 성능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관계기관과 협의해 설치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
도로공사는 경기도 안양과 군포를 잇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위의 수리터널에 무동력 미세먼지 저감시설을 10월부터 한 달 동안 시범 설치한 결과 하루 동안 정화한 공기량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도로먼지 흡입 청소차 46대가 작업한 양과 같았다고 5일 밝혔다.

▲ 한국도로공사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수리터널 천장에 시범 설치한 무동력 미세먼지 저감시설이 터널 안에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새로 개발된 무동력 미세먼지 저감시설은 교통풍을 따라 이동하는 미세먼지를 터널 천장에 설치한 대형 필터로 걸러내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다. 교통풍은 차량이 터널 안을 통과할 때 주변 공기가 밀려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바람을 말한다.
기존에 사용되던 미세먼지 처리시설인 전기집진기와 비교했을 때 설치비와 유지관리비가 낮아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새롭게 건설되는 터널뿐 아니라 현재 운영 중인 터널에도 설치할 수 있는 등 토목공사를 추가로 할 필요가 없다.
도로공사는 "무동력 미세먼지 저감시설은 국내외 적용 사례가 없는 도로공사의 자체 기술로 제작했다"며 "이번 시범 설치로 성능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관계기관과 협의해 설치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