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다이스 주식 매수에 신중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적 증가를 향한 기대감이 주가에 이미 반영돼 주가 상승이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박은경 삼성증권 연구원은 12일 파라다이스 목표주가 2만1천 원, 투자의견 중립(HOLD)을 새로 제시했다.
직전 거래일인 9일 파라다이스 주가는 1만95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파라다이스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주가는 이미 2020년 실적 개선치까지 반영된 수준에 형성돼 있다”며 “파라다이스시티가 완전 개장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중국인 관광객의 수요 회복을 향한 기대감도 너무 높은 수준인 만큼 향후 주가가 더 오르는 것이 제약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파라다이스는 2017년에 20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냈지만 이후 가파른 실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파라다이스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7936억 원, 영업이익 106억 원 낼 것을로 추산됐다. 2017년과 비교해 매출은 18.8% 늘고 영업이익은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파라다이스가 2019년까지 큰 폭의 실적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파라다이스 주가에는 파라다이스시티 등 신규 사업장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완전히 정상화할 2020년 실적을 향한 기대감까지 반영돼 있다”며 주가 상승여력이 제한적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실적 증가를 향한 기대감이 주가에 이미 반영돼 주가 상승이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 전필립 파라다이스그룹 회장.
박은경 삼성증권 연구원은 12일 파라다이스 목표주가 2만1천 원, 투자의견 중립(HOLD)을 새로 제시했다.
직전 거래일인 9일 파라다이스 주가는 1만95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파라다이스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주가는 이미 2020년 실적 개선치까지 반영된 수준에 형성돼 있다”며 “파라다이스시티가 완전 개장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중국인 관광객의 수요 회복을 향한 기대감도 너무 높은 수준인 만큼 향후 주가가 더 오르는 것이 제약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파라다이스는 2017년에 20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냈지만 이후 가파른 실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파라다이스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7936억 원, 영업이익 106억 원 낼 것을로 추산됐다. 2017년과 비교해 매출은 18.8% 늘고 영업이익은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파라다이스가 2019년까지 큰 폭의 실적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파라다이스 주가에는 파라다이스시티 등 신규 사업장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완전히 정상화할 2020년 실적을 향한 기대감까지 반영돼 있다”며 주가 상승여력이 제한적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