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금융포럼 in 하노이 에필로그①] 베트남은 여전히 국내 은행에 기회의 땅, 신한 '선전' 속 다른 은행들 속도전
[BP금융포럼 in 하노이 에필로그①] 베트남은 여전히 국내 은행에 기회의 땅, 신한 '선전' 속 다른 은행들 속도전
11월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가 성황리에 끝났다. 이번 포럼에는 베트남 금융당국자는 물론아시아개발은행(ADB), 아세안+3거시경제조사기구(AMRO) 등 국제기구가 함께해 K-금융의 아세안 확장, 특히 베트남 시장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많은 논의를 나눴다. 비즈니스포스트는 에필로그 기사를 통해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금융사들의 업권별 현황과 전략을 짚고, 포럼 현장 기사에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도 전한다. <편집자 주> - 글 싣는 순서 ① 베트남은 여전히 국내 은행에 기회의 땅, 신한 '선전' 속 다른 은행들 속도전 ② [인터뷰] 베트남우리은행 김병진 "리테일 비중 60% 목표, 뉴원뱅킹으로 동력 키운다" ③ 한국 기업만 1만 곳, KB·하나·농협·IBK '전략시장' 베트남 다시 본다 ④ 보험침투율 낮은 베트남 시장, 속도는 더뎌도 성장 잠재력은 분명히 있다 ⑤ [인터뷰] 한국투자증권 신현재 "높은 증권시장 성장성, 리테일 경쟁력 높일 것" ⑥ 베트남 캐피탈시장도 본격 성장 준비 중, 국내 여신사 무기는 '리스크관리' ⑦ [인터뷰]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장 이영직, "아세안 르네상스 촉매제 되겠다" ⑧ [인터뷰] 주한베트남대사 부 호 "베트남은 문을 닫지 않는다, 균형과 개방이 성장의 비결" 베트남은 국내 은행이 해외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버는 국가다. 코로나 이후 잠시 캄보디아에 1위를 내줬지만 2023년 다시 캄보디아를 제쳤고 지난해까지 2년 연속 1위를 지켰다.국내 은행은 2024년 베트남에서 순이익 3억1900만 달러(약 4500억 원, 환율 1400원 기준)를 올렸다. 국내 은행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전체 순이익 16억1400만 달러(약 2조2600억 원)의 20%가량을 차지한다.국내 은행이 지난해 3억 달러 이상의 순이익을 올린 나라는 베트남이 유일하다. 국내 은행은 2023년 처음으로 베트남에서 순이익 3억 달러를 넘어섰다.베트남은 국내 은행이 가장 많이 점포를 낸 나라이기도 하다. 베트남에는 지난해 기준 20개 점포가 나가 있다. 국내 은행의 해외점포 206개(41개국)의 10% 수준이다.국내 은행은 올해도 베트남에서 단단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신한베트남은행이 단단한 실적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신한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가운데 해외사업 강자로 평가된다. 신한은행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해 해외에서 5700억 원 가량의 순이익을 올렸다. 지난해 국내 은행 전체 순이익의 4분의1 수준이다.신한은행 해외사업 중심에는 베트남이 있다.신한금융그룹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해외시장에서 순손익 6503억 원을 올렸다. 지난해보다 12.4% 늘었다.베트남 손익이 2054억 원으로 전체의 3분의1을 차지했는데 신한베트남은행이 1925억 원으로 대부분을 담당했다.신한은행은 베트남과 수교를 시작한 이듬해인 1993년, 국내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먼저 베트남에 진출했다.1995년 호치민 지점을 설립한 뒤 2009년 외국계은행 가운데 처음으로 현지법인을 출범했고 2011년 신한비나은행 합병, 2017년 ANZ베트남 리테일부문 인수 등을 통해 지금은 지점 수, 순이익, 총자산 등 대다수 주요 지표에서 베트남 외국계 1위 은행으로 성장했다.베트남 하노이 경남랜드마크72에 입점한 신한베트남은행 지점 모습. <비즈니스포스트>신한베트남은행은 여전히 성장 중이다.신한베트남은행은 현재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22개, 중부지역의 다낭 1개, 호치민 중심의 남부지역 33개 등 모두 56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말보다 2개 더 늘었다.지난해는 호치민 투티엠지역에 본점 건물을 그룹사 통합사옥으로 새로 올리고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 신한DS 등과 한 건물에 입주해 계열사 사이 시너지를 극대화할 준비를 마쳤다.신한베트남은행의 지속적 성장 비결은 현지화, 즉 리테일(소매금융)에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신한베트남은행의 소매와 기업금융 비중은 대략 6:4 정도로 국내 시중은행 가운데 유일하게 현지 소매 비중이 높다.신한베트남은행이 현지화에 성공했다는 점은 지점장과 직원의 현지인 비중을 통해서도 확인된다.신한베트남은행은 56개 지점 가운데 국내 기업이 다수 진출한 공단지역의 주요 지점 14개만 한국인이 지점장을 맡고 있다. 직원 수를 봐도 2450명 가운데 50명만 한국인이고 나머지 2400명은 현지 베트남 사람들이다.신한베트남은행은 리테일에 강점을 지닌 만큼 4일 하노이에서 열린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에서도 '디지털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디지털 전략은 아무래도 기업보다는 소매금융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쓰인다.신한베트남은행은 국내 은행의 해외시장 안착의 성공사례로 평가되는 만큼 다른 은행들도 신한은행의 성공을 바라보며 베트남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우리은행이 대표적이다.우리은행은 신한은행과 마찬가지로 법인형태로 베트남에 진출해 현재 28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1997년 하노이에 지점을 개설하며 베트남에 진출했고 2017년 현지법인을 출범했다.우리은행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우리은행의 지배기업 순손익은 616억 원으로 2023년보다 3% 가량 늘었다.베트남우리은행도 신한베트남은행과 마찬가지로 현지 안착을 위해 소매금융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해부터 가수 아이유를 앞세워 베트남 현지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내려 입국심사를 통화해 나오면 바로 보이는 것도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광고다.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입국장에는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광고판이 나란히 걸려 있다. <비즈니스포스트>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은 지점형태로 베트남에 진출해 있다. 아직 법인 단계가 아닌 만큼 소매금융보다는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며 차별화한 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다.국책은행의 베트남 진출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현재 IBK기업은행은 베트남 법인, 한국산업은행은 하노이지점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데 올해 의미 있는 진전을 했다.베트남중앙은행(SBV)은 올해 5월 기업은행의 베트남법인과 산업은행의 하노이지점 설립 관련 접수증(CL)을 각각 발급했다. 기업은행과 산업은행이 첫 인가를 신청한 뒤 각각 8년과 6년 만에 얻은 성과다.한국수출입은행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바탕으로 베트남 경제발전에 지속해서 기여하고 있다. 한국은 일본에 이은 제2의 베트남 공적개발원조(ODA) 공여국으로 수출입은행의 역할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국내 은행들은 기업금융 중심의 사업구조를 지닌 만큼 국내 중소기업들을 상대로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동시에 여러 노하우를 공유하며 힘이 되기도 한다.4일 포럼장에서 만난 한 시중은행 법인장은 "베트남에는 한국 금융사들이 많이 나와 있는 만큼 법인장들끼리 거의 한 달마다 만나는 것 같다"며 "서로 경쟁 상대지만 동시에 동료이기도 한 만큼 베트남 현지 사업 정보 등을 주고받으며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국내 은행들이 베트남 진출에 힘을 주는 것은 아직도 베트남 성장성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베트남은 아세안 10개국 가운데 여전히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다. 인구도 2020년대 들어 1억 명을 넘어섰고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수혜국가로 또 다시 주목 받으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국내 은행이 가야할 길도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신한베트남은행이 베트남 외국계 1등이라지만 베트남 전체 은행시장 관점에서 보면 톱10에도 미치지 못한다.4일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에서 연사로 나선 김대홍 신한베트남은행 부행장은 "신한은행이 한국에서는 큰 은행이지만 베트남에서는 외국계 은행, 아주 작은 은행일 뿐"이라며 "충실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베트남 '톱10'이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한재 기자

인기기사

BP 채용 공고
무신사 채용 시 마감
MD (IP Biz)
정규직/5년 이상
카카오뱅크 D-23
카드상품 기획 및 운영 담당자
정규직/3~7년
LG전자(주) D-9
[MS사업본부] webOS 플랫폼 TVOD 사업 전문가
정규직/3~10년/학사 이상
보령 채용 시 마감
글로벌 QA 담당자
정규직/3~7년/학사 이상
카카오뱅크 D-23
프론트엔드 개발자
정규직/5년 이상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39-34 서울숲더스페이스 12층 대표전화 : 1800-6522 팩스 : 070-4015-8658

편집국 : 070-4010-8512 사업본부 : 070-4010-7078

등록번호 : 서울 아 02897 제호 : 비즈니스포스트

등록일: 2013.11.13 발행·편집인 : 강석운 발행일자: 2013년 12월 2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석운 ISSN : 2636-171X

Copyright ⓒ BUSINESSPO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