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이 10년 뒤에 한국 사업을 접는다면 이번에 투자한 64억 달러 가운데 신규 대출인 36억 달러를 회수할 수 없는 만큼 철수에 따른 리스크는 크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그는 “10년 뒤 상황을 누구도 보장할 수 없고 GM이 만약 그때 철수한다면 강제로 막을 수도 없다”며 “산업은행과 GM은 물론 한국GM 노사 등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참여해 경영 정상화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GM의 한국 사업을 10년 동안 묶어둘 수 있는 조건으로 산업은행의 비토권(거부권), GM에서 한국GM 지분을 일정 이상 보유해야 하는 조건, 3조 원 규모의 신규 설비 투자를 들었다.
그는 “비토권은 5년이면 큰 성공이라고 생각했는데 다행이 10년을 받았다”며 “GM의 한국 지분 매각을 제한하는 방안도 협의를 통해 이끌어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GM이 2027년까지 한국GM 공장의 설비에 매년 2천억~3천억 원씩 투자하기로 한 점을 놓고도 “GM이 (2027년) 뒤에도 한국에 남아있을 뜻을 보여준 것인 만큼 신규 설비투자는 구속력 있는 계약”이라며 “GM이 그 계약을 어기면 우리가 소송에 들어갈 근거가 된다”고 말했다.
산업은행도 한국GM의 2대 주주로서 GM과 소통을 강화하고 주주 사이의 협의에도 더욱 힘을 싣기로 했다.
이 회장은 “한국GM 임시주총을 분기별로 열기로 했고 1년에 한 차례 필요하면 주주 감사권을 행사하기로 GM과 합의했다”며 “분기별로 설비투자 등을 점검하고 연간 경영계획도 보고받는 등 주주의 권리를 강화해 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권한은 일반적으로 지분 17%만 보유한 주주에게 주지 않는 권리인데 이를 얻기 위해 계속 설득하고 협상했다”며 “먹튀 우려를 불식하려면 확실한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설득한 끝에 2대 주주로서의 권리가 더욱 강화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한국GM의 경영실사 결과 부실 원인으로 추정돼 왔던 원가구조와 연구개발비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던 반면 고정된 인건비 등의 영향이 컸다고 봤다.
그는 “실사 결과 한국GM과 GM이 체결한 여러 계약은 국제법 등에 어긋나지 않았다”며 “한국GM의 판매율 부진에 따른 가동률 하락과 다른 완성차 회사보다 많은 인건비 등이 부실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