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화큐셀이 국내 최대 기후산업 전시회에서 인공지능(AI) 시대 에너지 소비 증가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BEXCO)에서 27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5)’에 참가한다고 20일 밝혔다.
▲ 한화큐셀이 국내 최대 기후산업 전시회에서 인공지능(AI) 시대 에너지 증가 대응책을 제시한다. 사진은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참가하는 한화큐셀 부스 조감도의 모습. <한화솔루션> |
이번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인공지능을 위한 에너지, 에너지를 위한 인공지능(Energy for AI & AI for Energy)’을 주제로 진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으로 주최한다.
한화큐셀은 박람회에서 AI 기술 발달과 데이터센터 건설 등으로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채로운 재생에너지 솔루션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한화큐셀은 ‘에너지 인프라 존’을 통해 일반 상업용 모듈보다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강화해 고온다습한 수상 환경에서도 성능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수상형 모듈을 전시한다. 국내 실증단지에 설치되기도 했던 영농형 모듈도 선보인다.
‘에너지 기술개발 존’에서는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셀’을 전시해 한화큐셀의 첨단 에너지 기술 역량을 보여준다는 계획을 세웠다.
탠덤 셀은 기존 실리콘 셀의 이론적 한계효율인 29%보다 약 1.5배 높은 44%의 이론적 한계효율을 지녀 태양광 에너지의 경제성을 높일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재생에너지는 기후위기의 고조와 인공지능 시대 도래와 맞물려 세계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번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한화큐셀은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 자원순환까지 아우르며 더욱 넓어진 사업 영역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