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가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두 회사로 재편될 가능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수주부진과 자금난으로 독자생존 가능성이 가물가물하기 때문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대우조선해양의 앞날을 놓고 기업분할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대형조선사 2사체제로 재편이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왼쪽),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22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의 유동성 지원방안을 23일 내놓는데 대우조선해양을 분할하는 방안이 담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 이해관계자들의 자율적 합의가 없다면 법적인 강제력을 수반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게 필요하다”며 “법정관리와 워크아웃, 기업분할 등 여러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이 대우조선해양의 기업분할을 언급한 배경에는 대우조선해양의 분할매각을 통한 조선업계 2사체제로 재편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자율적 합의든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이든 결과적으로 매각을 최종적 목표로 둘 수밖에 없기 때문이고 이런 관점에서 매각을 쉽게 하기 위해 기업분할도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며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한 조선3사체제를 당분간 유지하기로 방향을 잡았다. 다만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이 정상화되면 2018년경에 매각을 추진해 새 주인을 찾겠다는 중장기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정부가 이런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대우조선해양이 기술력 등 경쟁력을 지니고 있는 만큼 조선업황이 정상화되고 수주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자리잡고 있었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수주가 급감하고 그 결과 자금난이 더욱 깊어지고 있어 독자생존 가능성을 놓고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을 매력적인 매물로 바꾼 뒤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애초의 계획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조기대선 국면으로 새 정부가 곧 등장해 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의 운명을 결정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임 위원장 등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들은 대우조선해양의 처리문제를 다음 정부에 넘기는 것은 결과적으로 부담을 안겨주는 꼴이어서 결고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을 분할한 뒤 매각해 조선업계를 2사체제로 재편한다는 쪽으로 큰 틀을 잡아놓을 가능성이 높다.
맥킨지는 지난해 조선업 컨설팅보고서를 내놓으며 한국 조선산업을 2사체제로 재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기업을 분할할 수 있는 토대를 이미 마련해 놓았다.
정성립 사장은 지난해 12월에 대우조선해양의 사업본부를 선박과 해양, 특수선(방산) 등 사업중심으로 재편하고 책임경영을 도입했다. 기능별로 짜여 있던 조직을 사업부 중심으로 재편하면서 분리매각을 위한 사전정지작업을 실시했다는 말이 당시 업계 안팎에서 나왔다.
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을 선박과 해양, 특수선부문으로 쪼갤 경우 선박과 특수선부문은 현대중공업에, 해양부문은 삼성중공업에 매각하는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현대중공업은 인적분할을 통해 조선과 해양부문에 집중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했고 삼성중공업도 구조조정의 성과를 내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