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삼성전자의 EUV(극자외선)공정 기반 시스템반도체 위탁생산에 사용되는 소재의 수출을 규제하고 있지만 삼성전자가 받을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김양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6일 “일본 정부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핵심소재에 수출규제를 발표한 뒤 (국내 기업들에) 혼선이 많지만 국내 반도체기업의 생산중단을 이끌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바라봤다.
일본 정부는 일본에서 생산되는 포토레지스트와 불화수소, 투명폴리이미드 3개 품목을 한국으로 수출하기 어렵도록 하는 새 규제를 도입했다.
특히 이번에 규제대상이 된 포토레지스트는 삼성전자 EUV 반도체공정에 활용되는 제품으로 일본기업이 독점하고 있어 삼성전자 반도체 위탁생산사업에 차질을 일으킬 가능성이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시스템반도체 7나노 공정, 내년 하반기부터 D램 미세공정에 EUV공정의 본격적 도입을 앞두고 있어 앞으로 메모리반도체사업에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김 연구원은 일본기업의 EUV 포토레지스트가 현재 벨기에 법인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본정부의 규제에 따른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EUV 포토레지스트는 기술적 어려움 때문에 국산화가 쉽지 않은 반도체소재로 꼽힌다.
김 연구원은 “일본 정부가 규제한 3개 소재는 국산화까지 적어도 1~3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정도로 국내에서 양산이 어려운 제품”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일본기업의 벨기에 법인에서 물량을 차질 없이 수급할 수 있다면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에 따른 악영향을 피할 수 있다.
다만 김 연구원은 일본 정부가 다른 반도체소재에 추가로 수출규제를 도입한다면 삼성전자 등 한국 반도체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국내 반도체기업은 지정학적 리스크 분산을 위해 일본에서 조달하던 소재의 비중을 축소하고 한국산 소재 비중을 늘리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