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으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이 총재는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으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는 예견된 것이었고 앞으로 전망도 시장 예상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며 “국내 금융시장이 큰 영향을 받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6일 미국 기준금리를 2.0~2.25%로 0.25%포인트 올렸다.
미국 연준은 점도표를 통해 올해 추가로 한 차례 금리를 더 올리고 내년에도 세 차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내보였다.
미국 금리가 12월에 한 차례 또 오르면 미국의 정책금리가 한국보다 1%포인트로 높아지는 만큼 한국은행이 받는 금리 인상 압박도 더욱 커졌다.
이 총재는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 역전폭이 0.75%포인트로 확대된 데다 미국은 앞으로도 금리를 올릴 계획이기 때문에 내외 금리차에 좀 더 경계심을 지니고 자금 흐름의 추이를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융 완화 정도를 줄여가려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던 이유는 그만큼 대내외 변수가 받쳐주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바깥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생각보다 격화되고 있고 물가와 고용 사정이 금리를 올리기엔 조금 미흡했다”고 파악했다.
그는 “금리정책 결정에는 거시경제 변수가 가장 중요하고 저금리 기조 지속에 따른 금융 불균형 정도 등도 종합적으로 살펴 최적의 정책 방향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취임 이후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총재는 “사실상 금리정책을 결정하는 여건이 예상했던 것보다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런 가운데서도 합리적으로 잘 판단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이날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혁신성장 관계 장관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건실한 경제 기반이나 과거 금리역전 사례를 살펴봤을 때 (미국 금리 인상이) 외국 자본의 급격한 유출이나 시장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과 함께 신흥국 경제에 끼치는 파급 효과 등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며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에도 대비해 만반의 대비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