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폭은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면서도 국내 금융시장을 두고는 조심스런 태도를 보였다.
추 부총리는 15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며 “(미 연준의 금리인상폭은)시장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오늘 새벽 국제금융시장 변동성도 제한적이다”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도 참석했다.
▲ 서울 은행회관에서 12월15일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 연준은 1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12월의 기준금리 인상폭이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다수였다.
추 부총리는 “11월 물가상승률이 예상치(7.3%)보다 낮은 7.1%를 기록하는 등 물가상승률이 5개월 연속 둔화돼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의 물가상승율이 높은 수치를 보이자 미 연준은 지난 7월, 9월, 11월에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12월에는 0.5%포인트 인상을 결정하면서 2022년 마지막 기준금리 인상은 빅스텝으로 마무리하게 됐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물가안정이 중앙은행의 최우선 목표라고 강조해왔다. 물가상승 폭은 기준금리 인상 폭을 결정의 핵심 요인인데 최근 미국의 물가상승폭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한 것으로 파악된다.
추 부총리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당초 예상대로 결정됐지만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성은 아직 안심할 수 없다는 견해를 내놨다.
추 부총리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와 정부의 조치 등으로 (국내 금융시장이)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이다”면서도 “하지만 주요국 물가, 경기둔화 흐름, 통화 긴축속도 등에 따른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아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다”고 진단했다.
이날 회의에서 추 부총리는 국내금융시장 지원 계획도 밝혔다.
추 부총리는 “2023년 초부터 5조 원 규모의 프라이머리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해 기업들의 원활한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겠다”며 “20조 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가운데 5조 원 규모의 2차 캐피탈콜(펀드자금 요청)도 2023년 1월에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레고랜드 사태'로 국내 회사채 시장이 얼어붙고 최근 건설 경기도 좋지 않아 자금시장이 경색된 상태인 만큼 기업들의 자금조달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채권시장과 더불어 경제와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지적되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보증규모를 확대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추 부총리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자 보증규모를 5조 원 추가 확대한 데 이어 5조 원 규모의 미분양 PF 대출보증도 2023년 1월1일부터 즉시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