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유치원 3법’ 논의를 위한 6인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다.
여야 3당의 원내대표들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만나 ‘유치원 3법(유아교육법, 사립학교법, 학교급식법) 개정안’ 논의를 위한 6인 협의체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운데),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왼쪽),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24일 열린 원내대표 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12월 임시국회에서 다룰 현안을 얘기하는 자리에서 함께 뜻을 모았다.
6인 협의체는 3당의 정책위원회 의장 또는 원내수석부대표와 각 당의 교육위원회 위원으로 구성된다. 여야는 이르면 이날 오후부터 협의체를 가동하기로 했다.
홍 원내대표는 “한국당의 주장이 바뀐 게 없다는 걸 재확인했다”며 “만약 6인 협의체에서 결론이 나지 않으면 바른미래당 중재안으로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을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위험의 외주화 방지법’으로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 처리 등은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청와대 특별감찰반 의혹에 따른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을 요구했지만 민주당이 반대해 이뤄지지 않았다.
나 원내대표는 “사실상 청와대에서 민간인 사찰이 이뤄진 것”이라며 “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조국 민정수석이 참석하는 운영위를 반드시 소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 원내대표는 “유치원 3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비상설특별위원회 연장, 국정조사 계획서는 27일 본회의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여야가 합의했는데 한국당이 특감반 관련 운영위를 소집하지 않으면 어렵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12월 임시국회가 빈손으로 끝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