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지주는 2017년 순이익 4031억 원을 냈는데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각각 순이익 2032억 원, 2215억 원을 거둔 주력 계열사다.
BNK투자증권, BNK캐피탈, BNK저축은행 등 6곳의 BNK금융지주 비은행계열사들의 지난해 순이익은 합쳐서 780억 원에 불과하다.
경남은행은 금감원 조사에서 대출자의 연소득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소득금액을 누락하거나 과소 입력한 사례가 적발됐다.
경남은행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대출자에게 빌려준 가계자금대출 가운데 전체 가계자금대출의 6%에 해당하는 1만2천여 건에 대출금리가 과다하게 부과됐다. 경남은행이 과다하게 거둬들인 대출이자 규모는 25억 원가량으로 추정됐다.
26일 자체조사 결과를 발표한 KEB하나은행(252건, 1억5800만 원)과 한국씨티은행(27건, 1100만 원)과 비교해 대출의 비중과 건수, 금액이 압도적으로 많은 수준이다.
경남은행은 전산입력 과정에서 발생한 단순한 실수라며 해명하고 있지만 단순한 실수로 보기엔 전체 가계자금대출의 6%에 해당하는 상당한 규모인 만큼 조직 차원에서 이뤄진 ‘고의적 조작’이 아니냐는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금융소비자원은 “은행들의 이러한 행태는 고의적이고 구조화된 관행”이라며 “청와대와 감사원,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나서 은행의 금리 운용 시스템 전반을 점검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경남은행의 해명처럼 단순한 실수라고 하더라도 내부의 대출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남은행과 함께 BNK금융그룹의 양날개 역할을 하고 있는 부산은행에서 ‘채용비리’가 불거진 지 얼마 안 돼 또 다시 고객의 신뢰를 잃어버릴 사건이 터진 셈이다.
부산은행 ‘채용비리’ 혐의로 성세환 전 BNK금융지주 회장과 박재경 전 BNK금융지주 부사장 등 주요 경영진과 임직원 등 10명이 재판을 받고 있다.
김 회장이 지난해 9월 취임한 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투뱅크 시스템’은 지역 대표은행의 브랜드 가치를 강점으로 지니고 있는 만큼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는 포부를 내놓았지만 신뢰도에 큰 금이 가는 사건의 연속으로 두 은행의 브랜드 가치는 점차 힘을 잃어가고 있다.
김 회장이 3월 주주총회에서 “그룹의 기업문화를 혁신하고 정도경영을 실천해 BNK금융그룹 안팎의 신뢰도도 끌어올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BNK금융지주 주가 시세조종으로 ‘CEO 리스크’를 겪던 BNK금융그룹에 김 회장이 구원투수로 등판했지만 좀처럼 반전의 계기는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김 회장은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을 발판으로 비은행부문과 글로벌사업을 키우겠다는 경영전략을 세워뒀지만 두 은행이 잇달아 흔들리면서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김 회장은 2017년 9월 취임한 뒤 조직 안정화 및 내부 통제에 힘쓰며 BNK금융그룹의 쇄신에 힘써왔지만 ‘양날개’가 잇달아 흔들리면서 곤혹스러울 것으로 보인다"며 "신뢰도 회복을 위해 빨리 전면에 나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