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등 대형 백화점이 재고 부담을 협력회사에 넘기는 거래 방식을 여전히 고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이태규 바른미래당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롯데백화점과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의 지난해 특약매입 비중이 73%인 것으로 조사됐다.
▲ (왼쪽부터)강희태 롯데쇼핑 대표이사 사장,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 장재영 신세계백화점 대표이사 사장. |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의 특약매입 비중은 2014년 78%에서 2016년 71%로 줄었지만 1년 만에 다시 증가했다.
특약매입은 백화점 등 대규모유통업자가 매입한 상품 가운데 판매되지 않은 상품을 반품할 수 있다는 조건을 붙여 상품을 들여오는 거래 방식을 말한다.
이때 백화점 등은 협력회사로부터 상품을 외상으로 산 뒤 상품을 팔고 나서 판매수익 일부를 빼고 남은 상품판매대금을 납품업체에 지급한다.
백화점은 판매되지 않은 상품을 협력회사에 반품한다는 점에서 판매 부진에 따른 손실을 보지 않지만 협력회사는 재고 부담을 떠안게 돼 대형 백화점의 갑횡포라는 비판을 받아왔던 거래 방식이다.
특히 현대백화점이 특약매입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백화점의 특약매입 비중은 최근 4년 동안 평균 84%에 이른다.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의 특약매입 비중은 72%, 롯데백화점은 69%다.
이태규 의원은 “백화점들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면서도 특약매입 방식을 고수해 재고 부담과 책임을 납품회사에 전가하고 있다”며 “중소 협력회사를 위해 직매입 거래 비중을 늘리는 등 대형 백화점이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