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조정자 역할이 중요해졌다.
북한과 미국은 비핵화 절차와 종전선언을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통해 종전 선언을 향한 돌파구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6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4일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수석 협상가’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 대북특사단은 5일 방북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돌아왔다. 특사단 방북 결과 18~20일 문 대통령의 방북과 남북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됐다.
김 위원장은 특사단을 만나 “최근 북미협상에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에 신뢰는 변함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에 북한과 미국의 70년 동안의 적대적 역사를 청산하고 북미 관계를 개선해 비핵화를 실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 대변인은 “종전 선언은 한반도 비핵화의 입구에 해당하고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지는 시점에 평화협정을 맺는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안에 비핵화를 실현한다는 것은 평화협정까지 염두에 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 비핵화 발언으로 어느 정도 한반도 비핵화의 로드맵을 밝힌 만큼 문 대통령은 이를 들고 미국을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북한과 미국은 종전 선언과 비핵화의 순서를 놓고 신경전을 벌여왔다. 북한은 종전 선언을 먼저 한 뒤 비핵화 조치를 밟아나가기를 요구하고 미국은 비핵화를 먼저 진행한 뒤 종전 선언에 임하기를 원했다.
문 대통령은 18~20일 남북 정상회담을 한 뒤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다.
남북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확고한 비핵화 의지를 재차 확인하고 이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해 올해 안에 종전 선언에 나서도록 할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이미 4·27 판문점 선언에서 올해 안에 종전을 선언하기로 합의한 만큼 이를 관철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을 설득하기 위해 김 위원장과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에서는 이전보다 진전된 수준에서 김 위원장의 발언과 행동을 이끌어 낼 가능성도 있다.
문 대통령은 4월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6월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하는 데 기여하면서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하지만 북한과 미국의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으면서 문 대통령의 조정자 역할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시각도 나왔다.
그러나 대북특사단 방문 과정에서 북한과 미국은 모두 문 대통령에게 여전히 신뢰를 나타냈다. 문 대통령이 북미간 교착상태를 풀어내는 역할을 감당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조선중앙통신은 6일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의 친서를 읽고 “우리 민족의 밝은 미래를 열어나가려는 대통령의 결심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공감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