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업종의 특성과 영업환경, 경기지표 등을 활용한 회계감리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23일 대기업 등 사회적 중요 기업을 회계감리할 때 업종의 특성, 경기지표 등을 활용한 감리 방식으로 개선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이는 기존의 회계감리 방식이 개별업체 위주의 분석으로 진행되고 있어 산업별 특성이나 경기지표 등 시장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금감원은 “분식회계가 발생했을 때 광범위한 투자자 피해가 나올 수 있는 대기업 등 사회적 중요 기업에 밀착 감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 시가총액과 자산 규모를 기준으로 상장사 가운데 50대 기업을 선정해 하반기부터 새 방식을 적용해 분석하기로 했다.
이후 금감원은 경기 전망이 좋지 않은 ‘경기 취약 업종’이나 유가·환율 같은 거시지표 변동에 민감한 ‘경기민감업종’ 가운데 상위 업체를 대상으로 분석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금감원은 회사별로 담당자를 지정해 업종별 특성과 개별 업체 정보 등을 함께 입체적으로 검토하고 회계 취약분야를 분석하기로 했다. 분석 결과 소명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결론이 나오면 회계감리에 들어가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업종별 분석은 해당 업종의 경기 상황을 비롯해 경기지표 흐름 분석, 자산별 비중 비교, 특이계정 검토, 회계 분식 사례 검토, 경쟁업체와 실적 비교 등을 통해 이뤄진다.
철강업 회사의 분석을 예로 들면 철강제품 판매단가가 낮아지는 등 경기지표가 악화하는데도 회사의 영업이익 규모가 늘어나거나 회사가 보유한 유형자산이 증가하는 흐름이 나타났다면 밀착 분석 대상이 된다.
금감원은 업종별 분석뿐만 아니라 개별 분석도 병행하기로 했다. 최근 실적과 주요 공시자료, 주가, 신용평가사 분석보고서, 민원, 언론·국회에서 제기된 회계 의혹, 이상징후 발생 여부 등도 함께 모니터링한다.
금감원은 “시장지표와 기업실적을 연계해 밀착 분석하는 방식을 회계감리에 활용함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회계감독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