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합의 수위가 약하고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 과거 북한과 했던 내실 없는 합의가 반복된 데 불과하다고 외국언론들이 평가했다.
장기적으로는 긍정적 효과를 낳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북미정상회담 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뉴시스>
AFP는 12일 "이번 합의문을 보면 김 위원장은 4월 남북 정상회담에서 약속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재확인했지만 그동안 미국이 계속 주장하던 '완전하고 검증할 수 있고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라는 표현은 들어가지 않았다"며 "(과거처럼) 모호한 약속을 되풀이했을 뿐"이라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도 마이클 그린 전 부시행정부 아시아 담당관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너무 좁은 시각으로 체스를 두고 있다"며 "북한에게 평화를 제공하면서 비핵화를 향해 북한이 내세우는 구체적이지 못하고 텅 빈 약속을 받아내는 행태를 반복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CNN은 아담 마운트 미국과학자연맹(FAS) 선임연구원의 분석을 인용해 "비핵화 합의가 그 이전의 합의보다 약하다"고 보도했다. 마운트 연구원은 인터뷰에서 "핵문제에 관해 이것보다 강한 합의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며 "과거 북한과 맺은 합의보다 약하다"고 바라봤다.
다만 CNN은 이번 회담이 실패는 아니라고 봤다.
CNN은 "이번 북미 정상회담이 양국 정상의 지속적 교류와 한반도 긴장 완화로 이어진다면 성공적이었다고 여겨질 것"이라며 "만약 한국을 향한 위협을 줄이고 북한의 인권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면 이는 결국 북한 핵의 제한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 트리뷴도 "일부 전문가들이 김 위원장이 빠르게 핵을 포기할 것이라는 것에 깊은 회의감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번 회담을 통해 외교적으로 북미 사이의 적대감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2일 열린 북미정상회담에서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새로운 관계의 수립 △한반도 안정적 평화체제 구축에 노력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합의한 판문점 선언 재확인 △전쟁포로와 전쟁실종자들의 유해 수습 약속 등 4가지 항목에 합의했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는 약속했지만 공동성명에 '완전하고 검증할 수 있고 돌이킬 수 없는 핵폐기(CVID)' 표현과 비핵화 시한, 구체적 조치는 명시되지 않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