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신흥국의 금융불안 등 여러 가지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이를 향한 경계는 늦추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우리나라의 외환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보였다.
이 총재는 “아르헨티나나 터키 등 일부 신흥국에서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기초 경제여건이 취약하고 정치적·지정학적으로 불안이 큰 나라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바라봤다.
그러나 현재 경상수지가 큰 폭의 흑자를 보이고 있고 외환보유액도 여유있는 양호한 대외건전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국내에 끼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유가가 최근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요인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국제유가의 흐름을 놓고 전망이 엇갈리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국내 경제성장에 끼칠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국제유가가 일부 우려대로 큰 폭으로 오르면 문제가 될 수 있는 만큼 국제유가 향방을 좀 더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제유가가 크게 오르면 물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용 부진과 최저임금 인상 사이의 연관성을 놓고서는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고용이 부진한 것은 사실”이라며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조정 유인을 높이는 쪽으로 작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맞지만 최근의 상황은 산업 구조조정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섞여있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이 영향을 얼마나 끼쳤는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보다 높은 ‘금리 역전 현상’이 지속되더라도 대규모 자본 유출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바라봤다.
이 총재는 “2006년에 금리 역전폭이 컸지만 우리나라 경기가 상승국면에 있었고 기초체력이 양호했기 때문에 자본 유출의 문제는 생기지 않았다”며 “대외 금리차도 고려요인이지만 더 큰 요건은 경기의 기초체력인 만큼 대외건전성을 양호하게 유지해 외부충격을 흡수할 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3조8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고 봤다.
이 총재는 “정부 계획대로 집행되면 경기에 긍정적 영향을 주겠지만 성장률에 얼마나 영향을 줄지는 예산의 집행률이나 경제주체들이 추경에 얼마나 반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며 “아직 효과가 얼마라고 얘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