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가 온통 뿌연 나날이 계속되면서 '침묵의 살인자' 미세먼지 해결은 3선에 도전하는 박 시장이 유권자들 표심을 열 가장 중요한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박 시장은 서울시장 자리를 놓고 다툴 박영선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으로부터 미세먼지 대책과 관련해 연일 날선 비판을 받고 있다.
박영선 의원은 27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적극적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중국 베이징처럼 미세먼지를 30%까지 충분히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2020년까지 서울시 대중교통수단과 승용차 등 2만 대를 수소전기차로 교체할 계획을 내놨다.
그는 “박 시장은 6년 동안 미온적이고 낡은 미세먼지대책을 사과도 없이 중앙정부 탓으로 돌리는데 박 시장이 올해 초 (대중교통 무료 조치에 사용해) 하늘로 날려버린 150억 원은 문제 해결을 위한 그 어떤 결과도 낳지 못했다”며 ‘미세먼지 관련 공개토론회’를 제안하기도 했다.
우상호 의원은 "박 시장의 정책은 보여주기식"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우 의원은 한 TV 프로그램에서 대중교통 무료정책을 두고 "국민의 세금을 쓸 때는 효율성에 대해 면밀히 검토했어야 하는데 세 번이나 시행한 건 문제가 있다"며 "(박 시장의) 진정성만으로는 설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비판했다.
박 시장은 1월 시행한 대중교통 무료 운행 조치와 관련해 이번 지방선거에서 정책검증을 받게된 셈이다.
서울시는 출퇴근시간 대중교통 무료 책의 실효성 논란이 빚어지자 시민들에게 차량2부제에 동참해달라는 홍보와 함께 공공기관 차량 줄이기로 미세먼지 저감대책의 방향을 조정했다.
박 시장은 26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중교통 무료 정책은 많은 논쟁이 있었지만 강제 차량2부제 또는 차량등록제로 가는 마중물이라 할 수 있다”고 호소하며 “서울시 대책 가운데 당장 효과를 낼 수 있는 조치들이 많지 않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가만히 있을 수 없지 않느냐”고 답답한 속내를 털어놨다.
시민들은 서울시장에게 미세먼지를 줄일 근본 대책을 간절히 요구하고 있다.
시민들은 청와대 청원게시판에 불안감을 호소하며 “미세먼지 마스크 외에는 개인이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어 정부가 주도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글을 올리고 있다.
서울에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날은 2013년 1일에서 2017년 10일, 2018년 들어서는 불과 3개월 만에 14일로 늘어났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