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면 국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운데)가 1월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올해 첫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
6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18년 1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통위원들은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을 경계했다.
한 금통위원은 “주요국의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빠르게 올라가면 이들 국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국제금융시장의 동향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당부했다.
다른 금통위원도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신흥국의 자본유출 위험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그는 “2013년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처럼 신흥국에서 자본이 대규모로 유출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이 재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테이퍼 탠트럼이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2013년 양적완화 축소를 시사한 뒤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떨어지고 증시가 급락했던 현상을 말한다.
미국 연준이 3월에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국과 미국 정책금리가 역전돼 국내에서 자본유출이 일어날 가능성도 언급됐다.
다만 한 금통위원은 “국내 자본유출이 환율변동을 통해 물가 등 거시경제에 끼칠 영향을 감안하면 정책금리 역전을 반드시 부정적으로 여길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서 대비해야 한다는 시각도 제기됐다.
한 금통위원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전체적으로 둔화되고 있지만 신용대출은 확대되고 있다”며 “금융시장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다른 금통위원은 “주택가격이 떨어진 일부 지역에서 마이너스 자산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은행 관련부서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주택가격 하락에 영향을 받아 민간소비의 회복세가 늦어질 수도 있다고 답변했다”고 말했다.
금통위원들은 실물경제가 대체로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민간소비 회복세와 가계부채 둔화세 등을 살펴 금리인상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데 대체로 동의했다.
한국은행은 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통위원 7명의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