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과학기술을 통해 미세먼지 문제의 근본적 해결방안을 마련한다.
정부는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합동으로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정부가 25일 범부처 합동으로 미세먼지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시행계획을 확정했다. |
정부는 지난해 미세먼지의 과학적 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근본적으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먼지 프로젝트 사업단을 출범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92억 원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되며 2018년에는 전년 대비 5% 늘어난 126억 원을 넣는다.
범부처 미세먼지 프로젝트는 △미세먼지 발생과 유입 △측정과 예보 △집진과 저감 △국민생활 보호와 대응 등 4대 부문별로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을 지속 수행한다.
발생과 유입 및 원인규명분야는 동북아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밝히는 데 필요한 중형 스모그 챔버를 구축하고 독자적으로 한반도 대기질 조사가 가능한 항공관측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측정과 예보분야는 미세먼지 입체 관측망을 활용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해 미세먼지 단기 예보 정확도를 2016년 69%에서 2020년 74%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집진과 저감분야는 사업장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한 제철소 실증기술을 확보하고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변환하고 저감하는 필터소재를 개발하는 등 원천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국민생활 보호와 대응분야는 실제 주택에서 생활보호제품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실환경 평가 인증규격(안)을 제시해 국민들이 환기설비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도 마련한다.
고농도 미세먼지의 사회적 이슈에 해법을 만들어가는 미세먼지 솔루션 포럼과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시민 3분 발언대, 1천 명 이상 미세먼지 파수꾼 양성교육 등 대국민 소통창구도 제공된다.
동북아 및 한-EU포럼 등을 통해 국제연구협력 네트워크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2월7일 대기질 관리 동향과 미세먼지의 건강영향 등 주제를 놓고 한국과 유럽 전문가간 긴밀한 미세먼지 사례를 공유하는 공동 워크샵이 계획돼 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국장은 “체계적 조사·연구 확대로 과학적 근거 기반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겠다”며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