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사장이 생활가전사업부장을 겸임하며 미국 빌트인가전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그동안 북미 TV시장 공략에 냈던 성과를 이어가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프리미엄TV 판매부진으로 가전사업에서 부진한 실적을 내고 있는 만큼 프리미엄 생활가전에서 시장확대가 절실하다.
삼성전자 미국법인은 8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프리미엄 가전 ‘셰프컬렉션’의 빌트인 전용 라인업을 대거 출시하고 본격적으로 판매확대에 나선다고 밝혔다.
셰프컬렉션 신제품은 빌트인 냉장고와 오븐, 전기레인지와 식기세척기 등 미국에서 인기가 높은 주방가전을 묶음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냉장고는 최대 9천 달러(약 1천만 원), 패키지가전 전체를 구매하면 2100만 원에 이르는 높은 가격으로 최근 급증하는 프리미엄 가전 수요를 공략하기 위한 전략제품으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시장조사기관 하우즈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미국에서 주택 최초 구매자들이 가전과 가구 등에 들이는 비용이 지난해 연간 22% 늘어난 3800만 원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미국 주택경기 호황으로 가전제품 수요가 증가하는 시기에 맞춰 삼성전자도 시장공략에 적극 나선 것이다.
김현석 사장이 CE부문장에 오르면서 생활가전사업부장을 겸임하게 된 배경도 삼성전자의 빌트인 등 프리미엄 가전시장 진출확대와 관련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김 사장이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맡으며 삼성전자가 지난해까지 10년 연속으로 북미 TV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주역이라고 평가했다.
김 사장이 이런 성과를 프리미엄 생활가전에서도 재현하기 위해 직접 사업을 총괄하며 미국 공략에 더 박차를 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은 2015년부터
서병삼 부사장이 맡아왔지만 2년 만에 자리를 내놓게 됐다. 하지만 서 부사장의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가
서병삼 생활가전사업부장 체제에서 LG전자를 제치고 올해 3분기까지 6분기 연속 북미 생활가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승승장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서 부사장의 역할과 거취는 아직 알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곧 발표가 예상되는 임원인사에서 가전사업에 더 중책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 가전시장은 최근 고가제품인 빌트인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 빌트인가전의 경우 일반가전과 달리 밀레 등 유럽업체들이 점유율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로서는 빌트인가전시장 공략을 통해 새 수요층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
삼성전자 가전사업을 담당하는 CE부문은 올해 부진한 실적을 내고 있다. 그동안 영업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프리미엄TV 판매가 경쟁업체의 올레드TV에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미국 생활가전 점유율 확대로 충분한 경쟁력을 증명한 만큼 빌트인가전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한다면 프리미엄 제품 판매확대로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미국이 삼성전자와 LG전자 세탁기에 높은 관세를 매기는 등 보호무역조치를 검토하며 월풀 등 현지업체에 힘을 실어주는 점도 프리미엄 가전제품의 시장확대가 중요한 이유로 꼽힌다.
▲ 삼성전자가 미국에서 내놓은 '셰프컬렉션' 빌트인 가전제품. |
LG전자가 프리미엄 가전의 판매비중이 높아 관세인상 등의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삼성전자도 고가제품 중심의 체질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빌트인가전은 보통 패키지로 판매되기 때문에 단기간에 시장지배력을 높이고 수익성에 기여할 수 있는 데다 삼성전자가 적극 추진하는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영역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셰프컬렉션 빌트인가전은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연동돼 원격동작 등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가전과 연동되는 삼성전자 TV 등 다른 제품을 계속 구매할 공산이 크다.
삼성전자는 하우즈의 설문조사결과 28%에 이르는 신규 가전제품 구매자들이 사물인터넷 기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술경쟁력과 디자인을 모두 앞세워 판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삼성전자 가전 등 완제품과 소프트웨어 연구소를 통합한 삼성리서치 센터장도 겸임한다.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술 등의 연구개발에도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