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철 기자 esdolsoi@businesspost.co.kr2017-09-21 11:11:37
확대축소
공유하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금리보다 국내경기 및 물가에 초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펼치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이 총재는 21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데 한국과 미국 금리차이의 역전보다 국내경기나 물가흐름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북한 리스크 때문에 셈법이 복잡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연준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친 뒤 10월 자산축소 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안에 한 차례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자산축소 계획과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전반적인 시장의 예상과 대체로 일치한다”이라며 “미국 금리인상이 약간 늦춰질 것이라는 기대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연준이 12월에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국의 기준금리보다 높아진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1.00~1.25%이고 한국의 기준금리는 1.25%다.
이 총재는 12월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가 역전돼 자본유출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일반적으로 한국과 미국 금리차이가 커지면 문제가 되는 만큼 통화정책의 고려요인인 것은 맞다”며 “다만 금리차이만 놓고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정부도 한국과 미국 금리차이에 따른 대규모 자본유출이 나타날 가능성도 낮게 바라봤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21일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금리차이 하나만으로 자금유출 가능성을 속단해서는 안된다”며 “자금유출입은 내외금리차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환율이나 경기전망, 자금흐름의 패턴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경제에 끼치는 영향은 크지 않겠지만 앞으로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를 면밀히 살피기로 했다.
고 차관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를 이어온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정책방향 변화흐름이 조금씩 강해지고 있다”며 “경제는 심리에 영향을 받는 만큼 빈틈없이 대응해 과도한 불안심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