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위험가구 수가 늘어나고 있다. 금리가 인상되면 위험가구 수가 급증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부채 위험가구 수는 126만3천 가구로 2015년보다 1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
|
▲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부채 위험가구 수는 126만3천 가구로 2015년보다 1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뉴시스> |
위험가구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DSR)이 40%를 초과하거나 자산평가액 대비 총부채 비율(DTA)이 100%를 넘는 가구를 말한다.
전체 부채가구 가운데 위험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11.6%로 전년보다 1.4%포인트 높아졌다. 위험가구가 보유한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해 186조7천억 원으로 전체 가계부채 가운데 21.1%를 차지했다.
고위험가구 수도 늘어났다.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31만5천 가구로 집계됐는데 2015년보다 6% 증가했다. 고위험가구란 DSR이 40%를 넘는 동시에 DTA도 100%를 초과하는 가구를 말한다.
고위험가구가 보유한 가계부채 규모는 62조 원으로 전년보다 33% 급증했다.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르면 고위험가구가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하반기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한국은행도 내년에는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최근 두 차례 이어진 미국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르며 대출금리가 동반상승하고 있다.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은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신규 자금조달비용지수(코픽스) 금리가 오름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0.01%포인트 높였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5%포인트, 1.0%포인트, 1.5%포인트 상승할 경우 고위험가구는 지난해보다 각각 8천 가구, 2만5천 가구, 6만 가구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부채 규모도 각각 4조7천억 원, 9조2천억 원, 14조6천억 원 급증할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소폭 상승하는 경우에는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저하 정도가 제한적일 것”이라며 “다만 금리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면 고위험가구의 수와 부채가 큰 폭으로 늘면서 가계부채의 취약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최근 가계부채를 크게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됐다. 50대 이상이 자영업에 대거 진출하면서 관련 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는 지난해 5800만 원으로 평균치인 4400만 원을 웃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정부와 감독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비롯해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취급유인을 약화하는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해 가계부채 급증세를 억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