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에도 불구하고 지주회사 전환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조기대선으로 상법개정안 등 경제민주화법안의 조기처리가 어려워진 점을 활용해 삼성전자가 상반기 안에 지주회사로 전환할 것이라는 예상이 힘을 얻고 있다.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삼성전자 지주사 전환을 포함한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5월 조기 대선으로 국회나 여론의 관심이 기업보다 경선 또는 대선에 집중된 상황이기에 삼성은 현재 혼란스러운 정국에 개편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파악했다.
|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윤 연구원은 차기 정권이 인수위없이 구성되고 5월 대선 후에도 내각과 국회 정상화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들어 5월 중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이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상훈 삼성전자 사장(CFO)은 1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주회사 전환 검토 작업 관련 그룹 이슈와 관계없이 주주들에게 약속한 사안이기에 차질없이 검토하고 예정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지주사 전환이 이재용 부회장 구속과 재판 등으로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상을 물리치고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삼성전자의 주사 전환에 최대 걸림돌이 될 것으로 꼽혔던 상법 개정안은 2월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인적분할 시 자사주 의결권 사용을 제한하는 내용을 뼈대로 한 법안인데 5월 조기대선으로 국회가 상반기 안에 법안을 재추진할 가능성이 낮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29일 회사성장과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지주회사 등 기업구조 변환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박근혜 게이트 수사의 여파로 이재용 부회장이 구속되고 미래전략실이 해체되는 등 대외 이슈가 불거지면서 지배구조개편에 차질이 생길 것이란 관측이 높았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배구조개편 작업이 늦춰진다면 오히려 지배구조개편으로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취지의 순수성이 의심받게 될 것”이라며 삼성그룹이 삼성전자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전환을 시작으로 미래전략실 등 비공식 조직이 아닌 합법적 틀 안에서 지배구조개편에 속도낼 것으로 내다봤다.
정대로 미래에셋 연구원도 삼성전자의 지주사 전환이 5월 중 추진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정 연구원은 “지주사 전환은 지배력 확보 관점에서 필요성이 높아 전환시기만 선택의 문제로 남아있다”라며 “상법 개정안의 입법화에 앞서 삼성전자의 지주회사 전환이 이뤄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판단했다.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따른 직접적 수혜는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 순으로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윤태호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인적분할 외에도 사업회사로서 재평가, 브랜드 로열티, 주주환원 정책 등으로 기업가치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정경유착 해소, 지배구조 투명성을 안착하는 데 성공하면 외국인 투자자 등으로부터 지지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가 인적분할을 하게 되면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7.55%를 처분해야 한다. 삼성생명이 금융지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만큼 삼성생명의 중요성이 재부각될 수 있다.
이재용 부회장 등 오너일가 지분이 많은 삼성물산은 삼성그룹 지배구조개편에 수혜를 입을 수 있으나 삼성전자에서 분할된 전자홀딩스와 합병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수혜의 정도가 적을 것으로 윤 연구원은 판단했다.
이상헌 연구원도 "삼성전자를 인적분할 하고 나서 여러 가지 제반 사항 등을 고려할 때 삼성전자 지주부문과 삼성물산의 합병은 가까운 시일 안에 이뤄질 가능성은 적다"며 "향후 3~4년 이후에는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SDS도 이재용 부회장 지분이 많은 계열사다. 삼성전자 인적분할이 빠르게 이뤄지더라도 직접적 수혜를 누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윤태호 연구원은 “삼성SDS가 삼성전자 인적분할에 따라 직접 입을 수혜는 없다”면서도 다만 최우선 과제인 삼성전자 인적분할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오너일가 지분활용 방안이 다시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일보다 0.10%(2천 원) 오른 207만 원에 장을 마감했다. 실적 기대감에 지배구조개편 수혜 가능성이 더해져 이틀째 상승세가 이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