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D램 5월 평균 고정거래가격 27% 올라, 시장조사업체 "관세 대비한 비축 수요 영향"

김호현 기자 hsmyk@businesspost.co.kr 2025-05-30 10:44:4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메모리반도체의 5월 평균 가격이 급등했다.

30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범용 D램 ‘DDR4 8Gb 1x8’ 제품의 5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4월보다 27.27% 오른 2.1달러로 나타났다.
 
D램 5월 평균 고정거래가격 27% 올라, 시장조사업체 "관세 대비한 비축 수요 영향"
▲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의 5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이 급등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DDR4 서버용 D램. <삼성전자>

D램 범용 제품의 가격은 지난 4월에도 22.22% 올라, 두 달 연속 20%대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9월부터 하락세에 접어들었던 D램 가격은 같은 해 12월부터 보합세를 보이다 4월부터 상승세로 전환했다.

이러한 가격 상승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와 90일 간의 유예정책이 영향을 미쳤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측은 “PC 업체들은 90일 동안의 관세 유예 기간에 메모리 비축량을 늘리고 있다”며 “이는 특히 저가형 중앙처리장치(CPU)와 이에 적합한 DDR4 D램 수요를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낸드플래시 가격도 상승했다. 메모리카드와 USB 등에 사용되는 범용 낸드 ‘128Gb 16Gx8 MLC’ 제품의 5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4월보다 4.84% 상승한 2.92달러를 기록했다.

낸드플래시 가격은 지난해 9월부터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 1월부터 반등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김호현 기자

최신기사

뉴욕증시 트럼프 'EU 관세 15%' 요구에 보합권 혼조 마감, 국제유가 하락
[현장] 롯데이노베이트 AI 에이전트 '아이멤버 3.0' 맞춤형 기능과 보안 강화, B..
결혼 머뭇거리게 하는 깜깜이 '스드메' 비용, 정치권 손질 본격 나선다
LG전자 조주완 'AI 반도체 생태계'서 B2B 먹거리 찾아, 끊겼던 반도체 인연 이어지나
국민의힘 역대 3번째 10%대 지지율, '보수 재기' 발판 이번은 무엇?
'삼비디아' 삼양식품 주가 질주, '불닭 충성' 글로벌 고객들 관세 혼란도 뚫었다
티빙·웨이브 합병 앞두고 커지는 숙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 모델 내재화 시급
에어인천 아시아나 화물 품고 대형사로 도약, 김관식 내친김에 대한항공과 정면승부
보령 김정균 홀로서기 첫 해, 'CDMO 사업'으로 영업익 2천억 향한다
우미건설 자체 주택사업은 호조, 배영한 외주사업 일감 다변화 박차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