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 주도로 구축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이 대부분 낮은 사용률을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CATL의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홍보용 이미지.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정부가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 인프라 구축을 적극 주도했지만 실제 사용률은 매우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는 12일 “중국이 풍력과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하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에너지부 조사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저장용량은 44GW(기가와트)로 연초 대비 약 40% 증가했다.
2025년까지 40GW를 구축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목표를 이미 초과달성한 것이다.
중국에서 에너지저장장치는 전기차를 넘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배터리 사용처로 떠올랐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육성 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대부분의 에너지저장장치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상황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에너지부 자료를 보면 중국 국가전력망공사의 에너지저장장치 평균 사용시간은 연초부터 6월 말까지 약 390시간 활용되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두 배 가깝게 늘어난 수치지만 전체 에너지저장장치 가동 가능 시간의 약 9%에 불과하다.
나머지 91%에 해당하는 시간에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사실상 사용되지 않았다는 의미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대규모 풍력 또는 태양광발전 설비 구축에 에너지저장장치 설치를 의무화한 반면 이를 반드시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은 두지 않았다는 점을 배경으로 들었다.
따라서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시간에 따라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등 방식으로 에너지저장장치 활용을 유도하는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지금처럼 에너지저장장치 활용률이 낮은 수준에 머무른다면 전력생산이 들쑥날쑥한 풍력 또는 태양광의 특성으로 인해 전력망이 과부화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대규모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 인프라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생산량이 더 늘어나면 전력망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