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물회사 이메리스가 운영하는 프랑스 에샤시에르 리튬 노천 광산에서 2024년 1월17일 한 노동자가 주변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글로벌 리튬 가격이 최근 가격 상승세를 보이지만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나온다.
이에 한국 소재사인 에코프로비엠과 포스코퓨처엠 등의 실적 개선에 먹구름이 걷히지 않고 있다. 리튬 가격이 올라야 배터리 양극재를 제조하는 소재사도 판매 수익을 늘릴 수 있다.
14일 외신을 종합하면 글로벌 리튬 공급과잉 해소 가능성을 둘러싸고 불투명성이 해소되지 않아 에코프로비엠과 포스코퓨처엠 등 양극재 업체에 일던 기대감이 사그라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2일(현지시각) 논평을 통해 “리튬가격 급등은 단기간에 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글로벌 리튬 재고가 여전히 상당한 데다 중국 당국의 공급과잉 억제책이 CATL을 비롯한 업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증권사 번스타인은 “배터리용 탄산리튬 중국 재고는 올해 초 11만5천 톤에서 5월 15만 톤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세계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가격은 2022년 12월 ㎏당 85달러에서 정점을 찍은 이후 최근 3년 동안 90% 폭락했다.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수요 증대를 예상하고 필수 소재인 리튬 생산 설비를 구축한 업체가 난립해 공급과잉 상황을 맞았기 때문이다.
조사업체 패스트마켓에 따르면 이번 달 12일 기준 수산화리튬은 ㎏당 7.80~8.70달러선에 사고 팔렸다.
이에 중국 당국은 자국 업체를 상대로 채굴을 불허하며 공급과잉 개선에 나섰다.
이에 CATL이 채굴 허가를 다시 받느라 장시성에 운영하는 리튬 광산을 8월10일부터 3개월 동안 폐쇄해 공급과잉이 해소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퍼졌다.
이 광산은 전 세계 리튬 공급의 6%를 차지한다.
이에 이번 주 리튬 가격도 16% 가량 올랐지만 이러한 현상이 단기에 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 셈이다.
원자재 조사업체 벤치마크미네랄스는 12일자 기사를 통해 “이번 주 리튬가 상승은 시장 심리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며 “투기적 성격으로 시장에 중대한 변화라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 포스코퓨처엠 임직원이 전남 광양 양극재공장에서 7월26일 국산 양극재를 미국 시장으로 첫 출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
다른 업체가 중국 외 지역에서 신규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점도 리튬 공급을 늘려 가격을 떨어뜨릴 중장기 요인으로 보인다.
중국 간펑리튬이 아르헨티나 소금호수(염호)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남미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 개발에 나섰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13일에 보도했다.
리튬 가격 상승은 배터리 양극재 가격과 재고 가치를 높여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비엠 등 양극재 생산 업체에도 일반적으로 수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가격 상승이 일시적이면 수혜 효과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공급이 추가로 늘어 리튬 가격이 떨어지면 재고자산평가손실까지 떠안을 수 있다.
에코프로비엠과 포스코퓨처엠은 리튬 가격을 양극재 가격과 직접 연동해 구매하는데 상대적으로 비싸게 산 리튬으로 양극재를 제조해 싸게 판매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내 양극재 업계 한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나눈 통화에서 “현재 리튬 단일거래 가격은 kg당 8달러 정도인데 10달러까지 올라야 수익성 개선 효과를 본다”고 설명했다.
실제 포스코퓨처엠과 엘앤에프 등 한국 소재사는 최근 리튬 가격 하락 여파로 올해 2분기 각각 255억 원과 1212억 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다행히 에코프로비엠은 같은 기간에 162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그러나 에코프로비엠은 이번 달 5일 진행한 콘퍼런스콜에서 “현재 가격 수준에서는 리튬 업체들의 채산성 확보가 쉽지 않다”며 부담감을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더구나 리튬 수요를 견인하는 전기차가 세계 시장에서 성장 둔화를 맞이해 당분간 리튬의 공급과잉을 해소할 계기도 마땅치 않다.
종합하면 공급과잉을 막으려는 중국 당국의 시도가 일시적 효과에 그쳐 에코프로비엠과 포스코퓨처엠 등 소재사가 리튬 가격 상승으로 누릴 수혜도 제한적일 가능성이 고개를 든다.
투자은행 맥쿼리는 “기대감만큼 리튬 생산 중단 효과가 나지 않는다면 분위기가 빠르게 돌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