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정치·사회  사회

서울대 'N번방'으로 딥페이크 범죄 위험성 부각, AI기본법 제정 목소리 커져

배윤주 기자 yjbae@businesspost.co.kr 2024-05-22 15:05:2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서울대학교에서 최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존의 음란물에 지인 이미지를 합성한 딥페이크 범죄가 발생하며 '인공지능 산업 육성 및 신뢰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AI기본법) 제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AI 활용 디지털범죄 위험성이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에 AI기본법이 없어 가해자를 처벌할 마땅한 법적 체계가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서울대 'N번방'으로 딥페이크 범죄 위험성 부각, AI기본법 제정 목소리 커져
▲ 서울대 동문·지인 상대로 디지털 성범죄 벌인 피의자가 최근 경찰에 검거되는 모습. <연합뉴스>

22일 법률전문가들에 따르면 AI 기술 발달에 따라 딥페이크 음란물을 일반인도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돼 이런 범죄를 막기 위한 AI기본법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AI기본법이 제정돼야 관련 산업을 진흥할 수 있을뿐 아니라 딥페이크 관련 범죄를 처벌한 규정도 마련할 수 있다는 얘기다.

김수민 김수민법률사무소 변호사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AI 기술 발달로 딥페이크 성범죄가 더욱 정교해지고 있는데다 건수도 증가하고 있어 AI기본법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현재 AI를 활용한 음란물 성범죄에만 국한돼 처벌이 이뤄지고 있는데 AI기본법이 제정되면 표절을 포함한 다른 범죄도 처벌할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환경 변호사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AI 전략 최고위협의회 법·제도 분과 1차 회의’에서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역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AI 기본법이 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딥페이크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의 합성어다. 딥페이크 성범죄는 AI 기술을 활용해 기존 음란물에 지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진 등을 합성해 불법음란물을 만드는 형태인데 일반인도 쉽게 제작이 가능해 사회 전반에 퍼지고 있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2023년 발간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보면 딥페이크를 포함한 디지털성범죄피해자 수는 2018년 1315명에서 2023년 8983명으로 급증했다. 

딥페이크 성범죄 사건은 이번달에 들어서만 굵직한 사건이 불거지며 사회적 논란이 됐다.

제주국제학교에서 지난 17일 동급여학생 2명의 얼굴사진을 합성해 만든 불법음란물을 친구들에게 보여준 혐의를 받는 10대 남학생 A군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혐의로 입건됐다. 

또 서울대 졸업생이 지난 21일 대학 동문의 사진을 이용해 딥페이크 불법음란물을 만들었다는 이른바 '서울대 n번방'사건이 적발되며 논란이 됐다.  
서울대 'N번방'으로 딥페이크 범죄 위험성 부각, AI기본법 제정 목소리 커져
▲ 21일 열린 제22회 국무회의에서 발표된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 요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렇듯 딥페이크 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했음에도 우리나라엔 아직 AI기본법이 없어 현재 성폭력처벌법으로만 처벌하고 있는 상황이다. 

성폭력처벌법 제14조의2에 따르면 반포할 목적으로 성적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허위 영상물을 제작하거나 퍼뜨리면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을 내도록 돼있다.

그러나 AI 활용 범죄를 처벌하는 직접적 근거 규정도 아니어서 기준이 다소 모호해 딥페이크 성범죄 가해자에게 적용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AI 기본법이 통과돼야 AI 악용 범죄에 대한 처벌 규정을 시행령에 담을 수 있다”고 말했다. 

AI기본법은 21대 국회에서 발의됐으나 임기 종료와 함께 폐기 수순을 밟고 있다. 여야 협의 과정에서 '인공지능 산업을 먼저 진흥하고 나중에 규제한다'는 방향이 정해진 것을 놓고 시민사회의 문제 제기가 나오자 논의가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다만 정부에서 AI기본법 제정 추진 의지를 강하게 보이고 있어 22대 국회에서 새로 발의되어 논의가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부는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지난 21일 20대 정책과제를 내놨는데 이 가운데 AI기본법을 2024년 안에 신설해 AI 안전성 검증을 위한 전담조직을 꾸린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AI기본법은 AI 기술 도입과 활용 지원, AI 윤리정책에 따른 정책 수립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범죄 예방뿐 아니라 AI 활용 산업 전반에 관한 포괄적 규범으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수민 변호사는 “AI기본법은 관련 산업 전반을 규율해 국가가 AI산업을 어떻게 조력하고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윤주 기자

최신기사

국수본 특별수사단 대통령실 압수수색 불발, 일부 자료만 임의제출로 확보
국수본·공수처·국방부 공조수사본부 출범, "중복수사 혼선과 비효율 해소"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인수 마무리, 2026년까지 자회사로 운영 뒤 통합
삼성전자 노조 윤석열 탄핵 집회에 동참, "민주주의 위해 끝까지 맞설 것"
태영건설 137억 규모 유상증자 추진, 출자전환 통한 재무구조 개선 목적
국내 3대 신용평가사, LGCNS 신용등급 전망 'AA- 긍정적' 상향 조정
현대차그룹 유럽 4위 '위태', 토요타 하이브리드 약진에 소형 전기차로 맞불
윤석열 내란 혐의로 대통령실 7년 만에 압수수색, 경호처 거부로 차질 빚어
[오늘의 주목주] '경영권 다툼 소강국면' 고려아연 8%대 내려, 신성델타테크 18% 급등
한덕수 "12·3 계엄 선포 전 정상적 국무회의 운영되지는 않았다"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