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하영 기자 juhyhy@businesspost.co.kr2024-01-05 16:10:09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의 사업성을 제고하고 부실사업장을 정리하는 노력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부실규모를 최대한 줄여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동향브리핑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PF 부실에 따른 시장 충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 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동향브리핑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PF 부실에 따른 시장 충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김정주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시장 침체로 다수 사업장에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며 “2023년 개발사업에 PF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은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자료와 신용평가기관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2023년 12월 말 기준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잔액 규모를 130조 원가량으로 추정하고 이 가운데 70조 원 이상의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구체적으로 브릿지론 30조 원 가운데 70%인 21조 원, 본PF 100조 원 가운데 절반인 50조 원의 부실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미 대다수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장들이 올해 준공될 예정이라 PF채무 이행 청구가 같은 기간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은 태영건설 워크아웃 관련 정부의 대응방안은 금융권에게 적지 않은 손실을 안겨줄 것이라며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위원은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위기 사업장의 수익성을 높여줄 실효성 있는 지원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며 “사업 지속에 대한 시장의 자율적 판단을 유도하고 부실 사업장에 대한 신속한 정리가 이뤄지도록 정부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은 대출만기 연장이 이뤄진 다수 사업장은 분양이나 매각실패가 있었기에 사업성이 확보되기 어렵다고 봤다. 이에 세제·금융지원·지구단위계획 변경 등을 통해 사업장의 사업성을 높이고 시행사·시공사·대주단이 협상으로 사업 지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업성을 확보 못한 사업장들은 ‘PF정상화지원펀드’와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토지은행’을 활용해 신속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주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