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프레시웨이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2분기 식자재 유통 부문의 인프라 투자로 시장기대치를 밑도는 영업이익을 냈지만 하반기에는 수익성을 개선할 것으로 분석됐다.
▲ CJ프레시웨이가 물류 인프라 투자 비용이 늘며 외형 성장 대비 영업이익 증가폭이 아쉬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
하희지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5일 CJ프레시웨이 목표주가 4만6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각각 유지했다.
CJ프레시웨이 주가는 24일 2만6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하 연구원은 “2023년 예상실적 기준으로 CJ프레시웨이 주식의 주가수익비율(P/E)은 5.6배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다”며 “상반기 물류 인프라 투자에 따른 비용증가로 외형 대비 수익성은 다소 아쉽다”고 말했다.
CJ프레시웨이는 2분기 시장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CJ프레시웨이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8047억 원, 영업이익 328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1.6%, 영업이익은 5.1% 각각 늘어난 것이다.
부문별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식자재 유통 부문은 매출 6034억 원, 영업이익 213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8.5% 늘고 영업이익은 13.6% 줄어든 것이다.
하 연구원은 “식자재 유통 부문의 수익성 하락은 물류 인프라 투자 비용 증가에서 비롯됐다”며 “하반기에는 1차상품 도매 및 원료 사업에서 재고를 해소하고 물류센터 가동률 개선에 따라 고정비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단체급식 부문은 2분기 매출 1847억 원, 영업이익 116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5.1%, 영업이익은 31.3% 각각 늘어난 것이다.
하 연구원은 “상반기 런치플레이션(점심식사 물가 수준의 상승) 영향으로 단체급식 사업 수주가 지속적으로 늘며 매출이 크게 늘었을 것이다”며 “하반기에도 단체급식 부문의 두 자리수 외형 증가가 지속되겠다‘고 전망했다.
CJ프레시웨이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910억 원, 영업이익 105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과 비교해 매출은 12.5%, 영업이익은 3.4% 각각 늘어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