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대응 특별위원회’를 신설하고 반도체 등 핵심산업의 소재·부품·장비 자급체제 구축에 힘을 싣는다.
정부는 17일 소재·부품·장비 범부처 컨트롤타워인 ‘소부장 경쟁력 강화위원회’ 8차 회의를 열고 위원회 산하에 특별위원회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8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요소수 공급부족 사태를 계기로 세계 글로벌 공급망 재편 동향과 위기요인을 선제적으로 파악해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내기 위한 목적이다.
특별위원회는 산업정책분야의 대표적 씽크탱크 전문가들과 주요 업종 및 지역 전문가들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주현 산업연구원 원장이 맡게 된다.
위원회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동향과 주요국가의 대응전략, 한국의 대응방향을 심층적으로 검토한 뒤 경쟁력위원회에 검토 내용을 보고하고 정부의 공급망정책 수립을 지원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최근 요소수 품귀현상은 2019년 7월 일본 수출규제에서 비롯된 소재부품장비 위기에 이어 안정적 글로벌 공급망 확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며 “정부가 주요 전략품목의 글로벌 공급망 개선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등 관리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338대 소재부품장비 주요 품목을 포함해 1차 소재와 특정 국가에 의존도가 높은 원료까지 아우르는 공급망 밀착 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한다.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국내 수입품목 1만2586개 가운데 단일국 수입 의존도가 80% 이상인 품목은 3941개다.
정부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다툼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과 특허분쟁 등 리스크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논의한다.
이날 회의에서 수요·공급기업의 협력사업 승인, 소부장 미래 선도형 연구개발(R&D) 추진방안, 신산업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 중소기업 특허분쟁 지원 강화방안, 글로벌 공급망 재편대응 특별위원회 구성안,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 현황 점검 등 6개 안건이 올라왔다.
홍 부총리는 신산업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과 관련해 “빅3산업(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과 나노 등 4개 분야 31개 품목을 선정하고 2022년 200억 원의 특별예산을 지원하겠다”며 “2030년까지 장비 수입 의존도가 84%에서 34%로 감소하고 1조8천억 원 규모의 수입품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