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5년까지 인체 항생제 사용량과 비인체 항생제 판매량을 지금보다 각각 20%, 10% 낮추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항생제내성전문위원회와 감염병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했다고 7일 밝혔다.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현재 26.1DID(인구 1천 명당 1일 항생제 소비량)에서 2025년 20.9DID로 20% 줄인다.
비인체 항생제 판매량은 1년 동안 가축 1kg당 현재 217㎎에서 2025년 195㎎으로 10% 감축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26.1DID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 나라 가운데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축산물생산량 반영한 항생제 사용량은 가축 1kg당 188㎎으로 일본(78㎎), 덴마크(28㎎) 등 주요 국가와 비교해 많다.
주요 항생제 내성률과 감염 보고건수도 늘고 있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내성률은 2007년 26.0%에서 2017년 34%, 2019년 40.9%로 증가했다.
축산분야 항생제 내성률도 선진국보다 높다.
2019년 기준 닭 대장균의 제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내성률은 한국이 13.2%, 덴마크 0.6%, 플로르퀴놀론계 항생제 내성률은 한국 78.3%, 덴마크 1.9%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꼭 필요한 곳에 항생제 양과 종류를 적정히 사용해 항생제 내성균을 줄이고 이미 발생한 항생제 내성균이 확산하지 않도록 감시체계를 강화해 적극적으로 감염관리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보건복지부는 이를 위해 이번 2차 대책에 의료기관을 위한 항생제 사용 관리프로그램과 분석시스템을 구축하고 축·수산분야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방안 등을 담았다.
또 중소·요양병원과 의원급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역량을 높여줄 수 있도록 기술지원 네트워크를 확대한다.
급성기병원(일반병원)과 지역사회 중소·요양병원 사이에서 환자를 이송할 때 환자가 보유한 내성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정부는 앞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제1차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추진한 바 있다.
주수영 질병관리청 항생제내성관리과장은 "항생제 오남용으로 내성균이 발생하고 이미 발생한 내성균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오남용 방지와 내성균 확산 방지가 중요하다"며 “항생제를 적정하고 올바르게 처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