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워싱턴포스트 "미국정부 경기부양책 성공적, 지속가능성은 불투명"

김용원 기자 one@businesspost.co.kr 2021-07-13 14:30:0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미국 정부가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내놓은 경기부양책이 좋은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되지만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지속될 지는 불투명하다고 미국언론이 바라봤다.

워싱턴포스트는 13일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경제위기에 맞서기 위해 최소 5조2천억 달러(약 5950조 원)을 들였다”며 “역사상 가장 비싸고 과감했던 실험”이라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 "미국정부 경기부양책 성공적, 지속가능성은 불투명"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미국 정부는 4차례에 걸친 경기부양책을 통해 개인과 기업 등에 막대한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며 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된 경제활동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힘썼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정부 경기부양책이 실제 경제지표 개선으로 이어진 만큼 성공적인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와 비교해 7.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2년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3.1%로 예상돼 37년 만에 가장 강력한 경제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정부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급증했던 소비가 경기부양책 중단 뒤 빠르게 힘을 잃으면서 경제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정부가 이미 경기부양책 중단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는 만큼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는 “가계와 기업은 미국 경기부양책 중단 뒤 다시 경제 저성장상태에 놓여 고전할 수 있다”며 “경제가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자생력을 갖추고 있을지 불투명하다”고 바라봤다.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규모가 과도한 수준이었다는 분석도 고개를 들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에 들인 자금이 미국 국민 절반의 모든 부채를 갚아줄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라며 경제 회복에 필요한 규모를 뛰어넘는 지원이 이뤄졌다는 의견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 경기부양책이 국내총생산 증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앞으로 수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워싱턴포스트는 “경기부양책이 지나친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에 부정적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며 “미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으로 끌어올린 경제성장세를 안착시켜야 한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최신기사

유안타 "셀트리온 1조 자사주 소각, 주주환원 40% 목표로 이익 개선"
트럼프 AI 규제가 화웨이 자신감 키웠다, 엔비디아 수출 재개로 '진검승부'
1만 원대 미니보험 등장에 펫보험 시장 술렁, '표준수가제' 기대 겹쳐 경쟁 가열
관세협상에 한국 경제 명운 걸렸다, 위성락·구윤철·김정관 외교통상라인 총출동
미래에셋 "녹십자 우려를 해소시키는 실적, 하반기 더 좋아지는 실적"
GS건설 HDC현산 송파한양2차 잇단 참전, 포스코이앤씨 정희민 '승리 방정식' 선택지는
LG이노텍 하반기 실적 반등하나, 예상과 달리 아이폰17 흥행 전망에 카메라모듈 공급증..
미래에셋 "휴젤 흔들리지 않는 실적, 증가하는 미국향 톡신 수출"
이수연 젝시믹스 14번째 자사주 매입, 29억 쏟아부은 '물타기 투자' 결실 보나
유안타 "농심 하반기 판매가격 효과 본격화, 툼바 임점 확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