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젤의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5.4% 늘어난 1101억 원, 영업이익은 26.9% 증가한 539억 원으로 추정된다. 매출액 및 영업이익 모두 시장기대치(매출액 1181억 원, 영업이익 590억 원) 대비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미화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분기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미국향 톡신 매출이 하반기 분산되어 반영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분기 톡신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5.6% 증가한 59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미국향 톡신 매출이 반영되며 북남미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81억 원 증가한 108억 원이 예상된다.
전년동기 높았던 중국향 매출 영향으로 아시아 태평양향 톡신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2분기 춘천발 톡신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4% 성장한 2360만 달러다.
국내 톡신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3% 증가한 209억 원이 예상된다. 국내 필러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7% 감소한 88억원이 예상된다. 작년 7월 국내 필러 단가 상승 이전 주문량이 늘어나며 지난해 2분기 필러 매출이 2023년 2분기 대비 12% 증가했기 때문이다.
휴젤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6.1% 증가한 4329억 원, 영업이익은 25.5% 늘어난 2087억 원으로 추정했다. 2분기 미국 톡신 매출 추정치는 기존 150억 원에서 70억 원으로 조정했으나 연간 추정치에는 큰 변동 없이 3분기, 4분기로 분산될 것으로 전망한다.
서미화 연구원은 “국내 에스테틱 피어기업인 파마리서치와 클래시스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은 37배”라며 “휴젤은 현재 P/E 26배 수준에서 거래 중으로 여전히 경쟁사 대비 낮은 PER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부터는 중국과 미국 수출 후 침투율이 높아지는 단계로 잠재력이 크다. 7월1일 수출 데이터 공개에 따른 실적 우려로 주가가 하락했으나, 일부 미국 수출 물량이 3분기로 이연된 것으로 파악되어 과도한 우려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톡신 미국 수출 매출액은 2분기부터 4분기로 갈수록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향 수출은 꾸준히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3분기부터는 파트너사 변경으로 축소됐던 브라질향 톡신 수출이 기대된다.
3분기 사우디 톡신 허가 일정도 있어 신규 국가의 톡신 수출량도 증가할 예정이다. 따라서 상반기 대비 하반기 톡신 수출은 53%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주가 상승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