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보존 중심이었던 도시재생을 개발과 정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바꾼다.
17일 서울시는 2세대 도시재생을 통해 2026년까지 주택 2만4천 호를 공급하고 8400명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내놨다.
이를 위해 6년 동안 시비와 국비 7300억 원을 포함해 7조900억 원(민간투자 6조3600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서울시는 도시재생 유형을 노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주거지 재생’ 과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중심지 특화재생’의 2가지로 재구조화했다. 구체적 실행방식은 모두 6가지로 나눴다.
도시재생 첫번째 유형인 주거지 재생은 재개발 가능 여부에 따라 3가지 형태로 추진된다.
재개발 연계형은 기반시설이 열악한 주거지는 민간주도 재개발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규모 주택정비형은 요건이 갖춰지지 않아 재개발사업이 어려운 지역과 관련해 서울시가 새롭게 도입하는 ‘모아주택’을 비롯한 가로주택, 자율주택 등 각 지역의 맞는 소규모 정비사업을 도입해서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종합관리형은 한옥밀집지구, 고도지역 같이 도시계획 규제 등으로 재개발이 어렵고 도시의 정체성 강화 차원에서 보존이 필요한 최소한 지역에서 ‘관리’에 중점을 둔 종합적 재생사업을 지속한다.
도시재생 두번째 유형인 중심지 특화재생은 그동안 미미했던 민간개발 활성화에 방점을 두고 도심의 저이용 대규모 부지, 쇠퇴한 시가지, 역사적‧문화적 의미가 있는 공간 등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김포공항 복합개발과 같은 신규 재생사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용산전자상가 등 기존 15개 재생사업은 재구조화 내용을 반영해 사업계획을 조정한다.
경제거점 육성형 중심지 특화재생은 대규모 민간주도 개발과 도시재생이 혼합된 사업방식이다.
이용이 낮은 부지에 민간 거점개발을 유도해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면서 지역일자리를 창출하고 파급효과를 주변지역으로 확산한다는 목적으로 추진된다.
중심지 활성화형 중심지 특화재생은 도심의 쇠퇴한 시가지를 대상으로 기존 산업을 고도화하고 민간개발을 통해 신산업을 도입한다.
지역자산 특화형은 남산예장공원, 노들섬, 돈의문박물관마을 같이 역사문화적 의미가 있는 공간이나 활용이 낮은 공간을 명소화해 지역활성화의 기폭제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번에 마련된 도시재생 재구조화 방향은 연내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통해 구체적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우선 1년 안에 실행 가능한 지역부터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주거지 재생은 재개발 연계형 2개소, 소규모 주택정비 관리지역 30개소, 종합관리형 20개소(가꿈주택 3100건)을 진행하고 중심지 특화재생은 경제거점 육성형 1개소, 중심지 활성화형 1개소, 지역자산 특화형 5개소를 추진한다.
양용택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직무대리는 “주택공급 및 노후 주거지 개선 미흡 등 그동안 지적되어 온 도시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고 개발을 희망하는 시민의 요구를 반영해 2세대 도시재생으로 대전환하고자 한다”며 “노후 주거지 개선과 민생, 경제를 살리는 도시재생사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안정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