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기업과산업  화학·에너지

SKC 친환경소재 상용화 단계, 이완재 고부가소재 전환 마지막 퍼즐

성보미 기자 sbomi@businesspost.co.kr 2020-12-22 16:39:4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SKC가 친환경소재인 분해 가능한 바이오플라스틱 제품군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완재 SKC 대표이사 사장은 2017년부터 SKC를 석유화학 소재산업에서 모빌리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친환경소재 등 고부가소재 중심으로 전환하는 사업모델(BM) 혁신을 진행했다.
 
SKC 친환경소재 상용화 단계,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35318'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이완재</a> 고부가소재 전환 마지막 퍼즐
이완재 SKC 대표이사 사장.

모빌리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서는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는데 친환경소재 사업까지 본격화하면 사업모델 혁신전략의 마지막 퍼즐을 맞출 수 있게 된다.

22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SKC는 잘 찢어지는 물성을 보완한 고강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PBAT)'을 내년부터 상용화해 국내 생분해성 소재시장 선점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SKC가 개발 중인 고강도 PBAT는 일회용 비닐봉지 등 석유계 난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할 수 있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해결에 기여하면서 궁극적으로 탄소감축에도움을 줄 수 있어 시장이 크게 확대될 품목으로 기대를 받는다.

SKC는 2009년 세계 최초로 생분해성 폴리락틱애씨드(PLA) 필름을 개발했다. 

2018년 스타벅스의 바나나 포장재를 시작으로 신세계 TV쇼핑의 아이스팩 포장재, 의류용 비닐 등으로 생분해성 폴리락틱애씨드 필름 공급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폴리락틱애씨드에 이어 고강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PBAT)' 제품까지 SKC가 상용화하면 막 개화하는 국내 생분해성 소재시장에서 유리한 위치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 SKC 이외에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은 아직 없다. 

LG화학과 CJ제일제당 등이 기술 개발을 마치고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R&D)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정부도 적극적 지원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어 앞으로 국내시장도 점차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시장 조사기관 마켓츠앤마켓츠(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글로벌 폴리락틱애씨드시장은 올해 7억8600만 달러(8709억 원)에서 2025년 17억5600만 달러(1조9456억 원)로 연평균 17.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신기술과 정부지원, 식음료의 수출 증가 등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화학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생분해성 소재 시장은 아직 본격 개화하지 않은 시장이지만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일회용품 사용규제가 강화되면서 생분해성 소재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라고 바라봤다.

이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막 상용화에 들어간 SKC를 중심으로 포장재나 비닐과 같은 필름 제품에서 점차 일회용컵, 발포제품, 마스크 부직포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비롯한 각국의 글로벌 탄소감축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석유화학기업들의 친환경소재로 전환은 필연적이라는 시선도 나온다.

이안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탄소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유화학업계에 변화가 찾아왔다”며 “원유 기반 화학소재 가동률을 낮추고 친환경소재로 전환할 수 밖에 없는데 탄소저감 효과와 빠른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이 대체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완재 사장은 석유화학사업이 중국기업들의 공격적 증설로 내리막 길을 걷자 2017년부터 모빌리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친환경소재 중심의 사업모델 혁신을 강조하며 ‘딥체인지(근본적 변화)’에 힘써왔다.

모빌리티 분야에선 전기차에 쓰이는 2차전지소재인 동박 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선 핵심소재인 블랭크마스크와 투명폴리이미드 필름(PI)을 국산화했다.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소재사업까지 궤도에 올리면 2017년부터 추진된 SKC 사업모델 혁신의 마지막 퍼즐을 맞추게 되는 셈이다.

이완재 사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개선하는 데에만 신경쓰는 우물 안 개구리식의 변화가 아니라 환골탈태 수준의 딥체인지가 필요하다”며 “제품, 전략을 부분적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회사와 사업영역을 통째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

최신기사

국수본 특별수사단 대통령실 압수수색 불발, 일부 자료만 임의제출로 확보
국수본·공수처·국방부 공조수사본부 출범, "중복수사 혼선과 비효율 해소"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인수 마무리, 2026년까지 자회사로 운영 뒤 통합
삼성전자 노조 윤석열 탄핵 집회에 동참, "민주주의 위해 끝까지 맞설 것"
태영건설 137억 규모 유상증자 추진, 출자전환 통한 재무구조 개선 목적
국내 3대 신용평가사, LGCNS 신용등급 전망 'AA- 긍정적' 상향 조정
현대차그룹 유럽 4위 '위태', 토요타 하이브리드 약진에 소형 전기차로 맞불
윤석열 내란 혐의로 대통령실 7년 만에 압수수색, 경호처 거부로 차질 빚어
[오늘의 주목주] '경영권 다툼 소강국면' 고려아연 8%대 내려, 신성델타테크 18% 급등
한덕수 "12·3 계엄 선포 전 정상적 국무회의 운영되지는 않았다"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