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1조 원이 넘는 추가부실을 안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2분기 대규모 손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해외 자회사에서 발생한 손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을 대상으로 진행해 온 실사가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서 추가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채권단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중심으로 대우조선해양의 추가부실 산정 작업을 7월부터 실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 사이에서 대우조선해양의 해외 자회사에서 발생한 손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경우 추가 손실이 1조 원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2분기 손실을 한꺼번에 반영해 3조 원대의 적자를 냈다. 그러나 대우조선해양은 이 과정에서 2분기 해외 자회사의 손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도 지난 7일 국회 정무위 종합 국정감사 때 대우조선해양 해외 자회사들의 손실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확정해 말할 수 없지만 추가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했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도 대우조선해양의 추가부실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유재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2분기 추가손실에 대한 충당금을 불과 2천억 원만 설정해 앞으로 추가손실이 나올 수 있다"며 “자회사 청산 등 구조조정 비용도 더 반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은 미청구공사액이 6조 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추가실사에서 해외법인을 정리하며 손실을 반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물론 채권단이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추가부실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추가부실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전문적이고 회계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의 손실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