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별 토지보상금 지급현황. <신한금융투자> |
정부가 지급하는 토지보상금 규모가 늘어나면서 개인투자자들이 증시에서 추가로 매수할 수 있는 자금도 충분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다미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7일 “‘동학개미운동’이라 불리는 개인투자자들의 대규모 자금 유입이 코로나19로 무너진 주식시장을 일으키고 있다”며 “개인투자자의 자금 유입은 앞으로 2~3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개인투자자들의 주요 자금 원천으로 토지보상금이 꼽혔다. 토지보상금이란 정부가 신도시 조성, SOC(사회간접자본) 사업 등을 위해 토지를 사들이면서 소유자에게 지급하는 돈이다.
두 연구원은 “3기 신도시 보상금은 2020년부터 5년에 걸쳐 풀리고 2021~2022년 정점에 이르러 토지보상금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한국은행이 무제한 양적 완화를 선언한 상황에서 신도시 토지보상금이 대거 유입되면 개인이 직접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이 늘어나게 된다”고 봤다.
토지보상금은 주로 다시 부동산시장으로 흘러가는 경향이 짙지만 증시에도 상당부분 유입될 것으로 전망됐다.
2기 신도시 조성시기였던 2007~2010년 연평균 토지보상금은 30조 원가량이었다.
2기 신도시 조성에 따른 토지보상금 규모가 가장 컸던 2009년에 개인투자자들의 매수비중은 미국 연준 1차 양적 완화 등과 맞물려 1년 만에 10%포인트 높아지기도 했다.
두 연구원은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면소비 감소로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과 달리 3월에 이미 한차례 크게 낮아진 주식의 매력도가 높아졌다”며 “3월 말 들어 증시가 가파르게 반등하긴 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의 순매수 비중이 높았던 IT 대형주들의 주가 회복속도가 상대적으로 더딘 점을 볼 때 추가 매수 가능성은 높다”고 내다봤다.
투자예탁금은 2019년 23조~28조 원 사이를 오갔으나 올해 3월 말에 40조 원대로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두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진정시점이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주식 매수시점을 노리고 있는 투자자가 늘어났다는 뜻”이라며 “앞으로 발표될 기업 실적, 실물지표 충격에 따라 주가 변동성도 확대될 수 있으나 풍부한 유동성에 힘입은 개인투자자 자금 유입이 증시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