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극복 및 경기부양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사회간접자본(SOC) 등 관련 투자에 속도를 내기로 하면서 건설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공공공사 비중이 높은 중소건설사들이 대형건설사보다 좀 더 빠르고 차별화한 수주 확대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월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파급영향 최소화와 조기극복을 위한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1일 건설업계와 증권업계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의 건설투자 활성화정책에 따라 공공공사를 많이 하는 중소건설사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중견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확대기조에 따라 수주기회가 늘어나는 점에 기대를 걸고 있다”며 “대형건설사와 달리 전체 수주에서 공공공사 비중이 높은 중소건설사에 아무래도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도서관, 어린이집 등 지역·생활형 인프라 관련 공사는 시공능력평가 순위 100위 권 바깥의 소형건설사가 진행하는 사례가 많다”고 덧붙였다.
공공공사는 안정성이 높은 반면 수익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탓에 대형건설사의 관심을 덜 받는다. 몇몇 대형 프로젝트를 제외하면 규모 측면에서도 중소건설사에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국내 공공공사 수주 상위권에는 계룡건설산업, 동부건설, 금호산업 등 시공능력평가 20~30위권의 중견건설사가 포진하고 있다.
2019년 국내 공공공사 신규수주도 시공능력평가 18위의 계룡건설산업이 1위를 차지했고 36위 동부건설이 그 뒤를 이은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토목공사를 포함한 공공공사 특성상 특정 건설사에 수주가 집중되지 않는 점도 중소건설사가 차별적 수혜를 보는 요인으로 꼽힌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국내 토목공사 발주는 사회간접자본, 민간투자사업 활성화에 따라 2020년에도 지난해에 이어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며 “관급·토목 비중이 높은 중소형 건설사나 (건설사별 수주상황과 무관한) 시멘트산업, 기술 경쟁력이 있는 엔지니어링 업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3기 신도시 조성, 국가균형발전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 등 주택과 토목에서 대형 프로젝트가 이르면 올해 말이나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점도 대형건설사들의 수주 확대시점을 늦추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성정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조달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최근 발표한 올해 공공공사 발주계획에 따르면 3천억 원 이상 대형 공사는 9개에 불과하다”며 “공공공사 발주 증가가 대형 건설사들의 수주 증가로 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2월28일 ‘코로나19 파급 영향 최소화와 조기 극복을 위한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통해 사회간접자본 및 생활인프라 관련 예산 35조 원(전체 예산의 60% 이상)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해 건설투자를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올해 예정된 민자사업 5조2천억 원 가운데 2조6천억 원을 상반기에 조기집행하고 신규 대형 민자사업도 빠르게 발굴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 역시 2월27일 ‘2020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21조7천억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 본격 착수, 지역 균형발전 인프라 확충 등 건설투자 확대기조를 다시 한 번 명확히 했다.
조달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월24일 2020년 공공공사 발주계획을 각각 31조7천억 원, 20조5천억 원으로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12.5%, 9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