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기자간담회에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정부에서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대책을 놓고 가계부채 증가세를 둔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18일 오전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16일 발표된 부동산대책의 영향을 묻는 질문에 “가계부채가 여전히 소득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우리 경제의 취약점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주로 주택담보대출 동향과 밀접히 연결돼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집값이 과열된 원인 가운데 하나로 저금리 기조가 지목되는 점을 놓고는 “차입비용이 낮아진 게 주택 수요를 높인 하나의 요인이 된 건 분명한 사실”이라면서도 “7월과 10월 두 차례 금리를 내린 것은 경기와 물가관리에 더 중점을 둬야 할 상황이었기 때문에 필요했다”고 말했다.
저물가 기조를 고려했을 때 통화정책을 지금보다 더 완화적으로 펼칠 여지가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이 총재는 “물가를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대답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물가 상승률이 0.4%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1∼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로 지난해의 1.5%보다 크게 낮아지면서 물가안정 목표인 2%를 밑돌고 있다.
그러나 이 총재는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물가 수준의 하락이 상품 및 서비스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지속되는 현상이 디플레이션의 일반적 정의”라며 “현재로서는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목표치인 2%와 관련해서는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보다는 좀 높아져서 1% 안팎 수준을 보일 것”이라며 “물가안정 목표 수준은 단기간 달성해야 하는 개념이 아닌 중기적 시계에서 지향해 나갈 목표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추가 금리인하를 놓고는 “통화정책을 완화기조로 유지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의 여지가 있다”며 “완화 정도는 물가 움직임만 보고 결정할 것이 아니라 경기상황, 금융 안정상황 그리고 정책, 만약 추가 조정을 한다면 그에 따라 예상되는 효과와 부작용 이런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해 나가야 한다”고 대답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